프란츠 클라인(Franz Kline), 미국, 화가, 1910-1962
프란츠 클라인(Franz Kline), 미국, 화가, 1910-1962미국 펜실베이니아의 석탄 탄광촌에서 태어난 '프란츠 클라인'은, 흑백의 강렬한 붓질로 캔버스에 강한 생동감을 불어넣는 추상표현주의 화가입니다. 공업용 에나멜페인트를 커다란 붓에다 묻혀 빠르게 획을 그은 그의 작품은 탄광촌에서 자랐던 어린 시절의 기억일지도 모릅니다. 훗날 고향에서 보았던 풍경들, 석탄을 실어 나르는 증기기관차와 철로, 다리 등을 그리기도 했죠. 가난 때문에 뒤늦게 다녔던 고등학교에서는 야구선수로도 활동하면서 만화가의 꿈을 키웠습니다. 런던의 미술대학에서 공부하다가 모델로 왔던 발레리나를 만나 결혼했답니다. 뉴욕에 정착한 이후 쿠닝과 잭슨 폴락, 마스 로스코 등 추상화가들과 어울리면서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았죠. "나는 검..
2025. 2. 20.
스튜어트 데이비스(Stuart Davis), 미국, 화가, 1892-1964
스튜어트 데이비스(Stuart Davis), 미국, 화가, 1892-1964'스튜어트 데이비스'는 미국의 초기 모더니즘 화가입니다. 미술학교를 다니던 시절, 전설적인 '아모리 쇼 Armory Show (미국 최초의 대규모 현대미술 전시회, 1913)'에도 최연소 출품을 했으며, 이 쇼에서 고흐와 마티스 피카소 등의 작품을 접했습니다. 이 전시회에서 영향을 받아, 그는 미국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가져다가 화려한 색상의 추상 콜라주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럭키 스트라이크 담배라든지, 맨해튼 거리의 간판, 재즈, 해안가 풍경 등에다 역동성을 겹쳐서 묘사했죠. 당시의 대중문화에다 예술적인 에너지와 리드미컬한 패턴을 결합한 그의 작품은 색채의 만화경처럼 화려합니다. 1930년대 획기적인 스타일로 선보였던 그의..
2025. 2. 19.
콘스탄틴 코로빈(Konstantin Korovin), 러시아 제국, 화가, 1861-1939
콘스탄틴 코로빈(Konstantin Korovin), 러시아 제국, 화가, 1861-1939'콘스탄틴 코로빈'은 러시아의 대표적인 인상주의 화가입니다. 부유한 집안의 가족 사업보다는 미술과 연극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모스크바의 예술학교에서 공부했으나 학교에서는 심한 꾸중만 받았죠. 20대 중반 파리를 여행하고 나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파리는 나에게 충격이었습니다.... 인상주의, 그들에게서 나는 모스크바에서 꾸중 들었던 모든 것을 발견했답니다." 그는 해마다 파리를 방문하면서, 몽마르트르 등 파리의 화려한 밤거리를 자신의 스타일로 그렸습니다. 파리에서는 저녁때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는데, 밤 풍경은 그가 좋아하는 연극을 떠 울리게 하고, 색상이 밤에 더 강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훗날 그는 볼..
2025. 2. 19.
브루노 릴리에포르스(Bruno Liljefors), 스웨덴, 화가, 1860-1939
브루노 릴리에포르스(Bruno Liljefors), 스웨덴, 화가, 1860-1939스웨덴의 '브루노 릴레포르스'는 자연과 동물을 모티브로 하여 극적인 상황을 그려내는 야생 동물화가입니다. 세심한 생태 관찰력과 섬세한 묘사가 돋보이는 그의 작품은 언뜻 보면 평화롭고 귀여워 보이지만, 그 내면에는 약육강식이라는 자연의 순리가 담겨있습니다. 포식자의 사나움이라든지 먹이의 비애를 강조하지 않았고, 동물의 세계를 있는 그대로 묘사했습니다. 자신이 화가이면서 사냥꾼이기도 한 그는, 여우와 토끼, 바다 독수리와 오리 등 살아 움직이는 동물들을 모델로 작품 활동했기에 많은 어려움이 따랐습니다. 하지만 생동감 있는 야생동물 그림 묘사로 높은 평가를 얻었답니다. ..
2025.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