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업/자기개발

먹잘알 정승제 선생님의 5가지 추천 칠판 레시피

by 트렌디한 일반 상식 2025. 4. 22.
반응형

먹잘알 정승제 선생님의 5가지 추천 칠판 레시피
먹잘알 정승제 선생님의 5가지 추천 칠판 레시피

 

수학 일타강사로 알려진 정승제 선생님은 사실 유명한 ‘먹잘알’이다. 그가 수업 짬짬이 칠판에 적어 가며 알려준 화제의 레시피를 모아봤다.

 

1. ‘내가 만든 카레 아니면 못 먹어’의 그 카레

1) 준비 재료: 바몬드 카레 2 봉지, 돼지 앞다릿살 2팩, 감자 3개, 양파 3개, 스위트콘 통조림 1개, 청양고추 1개

 

2) 조리 방법

큰 냄비에 참기름을 살짝 두르고 돼지고기 두 팩, 맛소금, 순 후추를 차례로 넣어 볶는다. 고기가 익는 동안 껍질 제거한 감자와 양파를 각각 3개씩 깍둑썰기해 추가로 넣는다. 당근은 정승제 선생님이 먹지 않으므로 넣지 않는다. 야채가 적당히 익으면 물을 첨가하고 재료들을 저어준다. 이제 바몬드 카레 2 봉지, 스위트콘, 청양고추를 넣고 뭉근하게 끓인다. 압도적인 맛의 카레가 완성되었으므로 맛있게 먹는다.

 

2. 가위 맛으로 완성하는 김치볶음밥

1) 준비 재료 : 잘 익은 묵은지와 국물, 삼겹살 3줄, 날이 선 가위

 

2) 조리 방법

정승제 쌤의 김치볶음밥 레시피 핵심은 소금과 후추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삼겹살과 김치, 가위로만 맛을 완성한다는 것. 먼저 예열된 팬에 삼겹살을 3덩어리 올리고 적당한 크기로 자른다. 고기가 익기 시작하면 묵은지를 통째로 넣고 팬 위에서 가위질을 한다. 묵은지 국물을 넣고 고기와 김치를 가위로 더 잘게 잘라준다. 삼겹살과 김치 색이 같아질 때쯤 밥을 넣고 비벼주면 완성이다. 홍진경은 한 입 먹고 ‘여태 먹어본 중 가장 맛있는 김치볶음밥’이라 극찬했다.

 

3. 본질을 담은 닭볶음탕

1) 준비 재료: 손질된 닭 한 팩, 감자, 당근, 양파, 양조 진간장, 다진 마늘, 청양초 고춧가루, 청양고추 3개, 고추 3개

 

2) 조리 방법

어떤 스킬도 부리지 않고 닭이 맛있어지길 바라는 진심이 담겨있어야 한다는 것이 핵심 스킬. 손질된 닭을 한 번 끓여 잡내와 기름을 제거한 뒤 감자와 당근, 양파 등 야채를 넣고 다시 끓인다. 아주 매운 청양초 고춧가루를 듬뿍 넣고, 양조 진간장을 한 컵 넣어 간을 맞춘다. 그다음 다진 마늘을 넣고 화끈하게 불 맛 나는 청양고추 3개와 맵지 않은 고추 2개를 3:2의 비율로 섞어 넣는다. 대파를 숭숭 썰어 올린 뒤 ‘맛있어져라’라는 간절한 마음으로 졸여주면 뼈까지 맛있는 닭볶음탕이 완성된다.

 

반응형

4. 믿고 먹는 맛있는 떡국

1) 준비 재료: 신설설농탕 2팩, 양지머리 1팩, 조선간장, 들기름, 소금, 동네에서 제일 맛있는 떡집의 떡

 

2) 조리 방법

한우 육수 팩 중에 정승제 선생님이 추천하는 것은 신설설농탕. ‘본인 피셜’ 가장 고소하기 때문이다. 이 떡국의 핵심은 인덕션 불 조절이다. 먼저 인덕션 불을 8로 놓고 들기름 두른 팬에 꼬름한 냄새가 올라올 때쯤 양지머리를 넣는다. 불을 3으로 줄인 뒤 고기를 볶는다. 고기 색이 노릇해지면 신설설농탕 2팩을 넣고, 불을 9로 올린다. 팔팔 끓기 시작하면 조선간장 2스푼을 넣고 소금으로 나머지 간을 맞춘다. 평소 동네 떡집의 떡을 다 먹어본 뒤 가장 맛있는 집의 떡을 넣고, 파를 송송 썰어 넣으면 완성이다.

 

5. 밤 11시 50분만 되면 생각나는 치즈롤 식빵

1) 준비 재료: 치즈롤 식빵, 땅콩버터, 크림치즈, 딸기잼

 

2) 조리 방법

다이어트를 결심했다면 피해야 할 레시피다. 정승제 본인 역시 밤 11시 50분만 되면 생각이 나 미치겠다고 한, 치즈롤 식빵 제일 맛있게 먹는 법이니까. 한입 베어 물면 자국이 그대로 남는 쫀득한 치즈롤 식빵 위에 땅콩버터를 바르고 그 위에 크림치즈를 얹는다. 마지막으로 딸기잼은 스치듯 조금만 바른다. 먹으면서 실시간으로 빵이 없어지는 것이 못내 슬프다면, 올여름 다이어트는 대실패.


 

 

애매한 재능으로 승부보는 7가지 실전 전략

천재는 아니지만 그래도 뭔가 해내고 싶으니까. 1. 재능 더하기 재능재능이 애매하다는 것은 아직 내게 맞는 조합을 못 찾았다는 말이다. 애매한 재능도 두 개 이상 더해지면 특별한 능력이 된다

mkpark03.tistory.com

 

 

질문에도 예의가 있다. 사회 초년생을 위한 7가지 질문의 기술

처음 사회에 발을 들이는 순간, 우리는 수많은 질문과 마주한다. 하지만 막상 입을 떼는 건 쉽지 않다. 눈치 없어 보일까 봐, 혹은 모자라 보일까 봐. 그러다 결국은 묻지도 못하고 실수를 반복한

mkpark03.tistory.com

 

 

평범했다가 갑자기 잘 나가는 사람의 7가지 특징

잘 나가고 싶다. 하지만 그 기회는 쉽게 오지 않는다.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누구나 가능한 방식으로, 조용히 방향을 바꾼 사람들이 결국 그 자리에 도달한다. “언제 저렇게 잘 됐지?

mkpark03.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