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스크림저(Mary Scrimger), 미국, 화가, 1948-현재
메리 스크림저(Mary Scrimger), 미국, 화가, 1948-현재미국의 '메리 스크림저'는 대학에서 미술을 공부한 후, 잡지사의 아트 디렉터 및 의류 디자인 일을 했습니다. 그녀는 세상을 여행하면서 본 것들과 아이들에 대한 사랑을 이미지로 담아 세상에 보여준다고 합니다. 겨울철 스위스 수도원에서 만난 신부님들은, 그녀에게 유머와 아이디어의 영감을 주기도 했죠. 그녀 작품의 키워드는 겨울, 수도원의 사제들, 스키, 새, 동물, 비행기 등입니다. 특히 발명가인 아버지와 레오나르도 다빈치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하네요. 밝고 선명한 색상이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
2025. 3. 15.
프란츠 클라인(Franz Kline), 미국, 화가, 1910-1962
프란츠 클라인(Franz Kline), 미국, 화가, 1910-1962미국 펜실베이니아의 석탄 탄광촌에서 태어난 '프란츠 클라인'은, 흑백의 강렬한 붓질로 캔버스에 강한 생동감을 불어넣는 추상표현주의 화가입니다. 공업용 에나멜페인트를 커다란 붓에다 묻혀 빠르게 획을 그은 그의 작품은 탄광촌에서 자랐던 어린 시절의 기억일지도 모릅니다. 훗날 고향에서 보았던 풍경들, 석탄을 실어 나르는 증기기관차와 철로, 다리 등을 그리기도 했죠. 가난 때문에 뒤늦게 다녔던 고등학교에서는 야구선수로도 활동하면서 만화가의 꿈을 키웠습니다. 런던의 미술대학에서 공부하다가 모델로 왔던 발레리나를 만나 결혼했답니다. 뉴욕에 정착한 이후 쿠닝과 잭슨 폴락, 마스 로스코 등 추상화가들과 어울리면서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았죠. "나는 검..
2025. 2. 20.
스튜어트 데이비스(Stuart Davis), 미국, 화가, 1892-1964
스튜어트 데이비스(Stuart Davis), 미국, 화가, 1892-1964'스튜어트 데이비스'는 미국의 초기 모더니즘 화가입니다. 미술학교를 다니던 시절, 전설적인 '아모리 쇼 Armory Show (미국 최초의 대규모 현대미술 전시회, 1913)'에도 최연소 출품을 했으며, 이 쇼에서 고흐와 마티스 피카소 등의 작품을 접했습니다. 이 전시회에서 영향을 받아, 그는 미국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가져다가 화려한 색상의 추상 콜라주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럭키 스트라이크 담배라든지, 맨해튼 거리의 간판, 재즈, 해안가 풍경 등에다 역동성을 겹쳐서 묘사했죠. 당시의 대중문화에다 예술적인 에너지와 리드미컬한 패턴을 결합한 그의 작품은 색채의 만화경처럼 화려합니다. 1930년대 획기적인 스타일로 선보였던 그의..
2025. 2. 19.
조지 이네스(George Inness), 미국, 화가, 1825-1894
조지 이네스(George Inness), 미국, 화가, 1825-1894미국의 풍경화가 '조지 이네스'는, 사실주의와 인상주의의 중간쯤 단계에서 자연의 드라마틱한 빛과 색을 찾아내어 캔버스에 옮겼습니다. 일출과 일몰, 달빛 등 시간과 계절에 따른 여러 풍경을 신비로운 분위기로 표현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미국 풍경화의 아버지'라 불릴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가졌던 예술가입니다. 약간 안개 낀 듯한 분위기에서 중간 톤의 색채들이 대비와 조화를 이룬, 이런 스타일은 '색조주의 Tonalism' 작품들입니다. 1800년대 말에 한때 유행하다가, 결국엔 인상주의와 모더니즘에 의해 가려졌답니다. ..
2025. 1. 9.
다인 칼슨(Dines Carlsen), 미국, 화가, 1901-1966
다인 칼슨(Dines Carlsen), 미국, 화가, 1901-1966미국 뉴욕에서 태어난 '다인 칼슨'은 정물화로 유명한 화가입니다. 아주 오래된 놋쇠 그릇, 중국풍의 차 주전자, 도자기 등을 매우 고풍스럽고 정밀하게 그렸습니다. 어릴 적 학교는 다니지 않고, 덴마크에서 미국으로 이주해 온 부모님으로부터 홈스쿨링을 받았습니다. 뛰어난 정물화가였던 아버지 '에밀 칼센'에게서 미술수업을 받았죠. 그래서 아버지와 아들의 작품은 매우 흡사합니다. 아들 '다인 칼슨'이 죽고 난 후, 그의 아내는 칼슨 부자를 추모하기 위해 '에밀과 다인 칼슨 상 Emil and Dines Carlsen Award'을 제정해, 매년 정물화가에게 시상하고 있답니다. ..
2024.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