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프랑스46

라울 뒤피(Raoul Dufy), 프랑스, 화가, 1877-1953 라울 뒤피(Raoul Dufy), 프랑스, 화가, 1877-1953화가 '라울 뒤피'의 작품에서는 밝고 장식적인 색채와 스케치하듯 빠르게 그은 선들로 리듬감이 느껴집니다. 그의 그림 소재는 다양합니다. 연회와 뱃놀이, 경마장, 요트경기, 서커스, 투우, 오케스트라, 산책길의 풍경, 해변, 창이 열린 실내 등 모두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을 그렸죠. 그는 간결하면서도 유창하고 상당히 리드미컬한 스타일로 일상의 소재들을 작품에 담아 삶의 기쁨과 평화를 일깨워 주었습니다. 음악이 묻어있는 그의 그림에는 경쾌함과 즐거움이 있네요. 모차르트와 드뷔시에 헌정하는 그림을 그리기도 했으며, 파리에서 만국박람회가 열렸을 때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벽화 "전기요정"을 그렸답니다. .. 2025. 5. 13.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프랑스, 화가, 1830-1903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프랑스, 화가, 1830-1903풍경화의 대가인 프랑스의 '카미유 피사로'는 고흐, 모네, 르누아르 등 인상주의 화가들의 정신적 지주였습니다. 인상파 동료들 중 가장 나이 많은 맏형답게 격려와 도움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초기에 어두운 색상을 많이 쓰던 세잔도 피사로의 조언 덕분에 원색의 밝은 그림을 그리게 되었죠. 피사로 역시 인상파의 막내들 쇠라와 시냑의 점묘법에서 아이디어를 얻기도 했답니다. 피사로는 소박한 전원풍경과 근대화 되고있는 도시풍경들을 많이 그렸습니다. 나이 들어서 눈병이 심해지자 야외보다는 실내에서 그림 그리기로 했죠. 파리 중심가 호텔에 방을 잡고, 두 달 동안 몽마르트 거리를 밤낮없이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해가 비치고, 비가 내리는 등 .. 2025. 5. 9.
앙리장 기욤 마르탱(Henri-Jean Guillaume Martin), 프랑스, 화가, 1860-1943 앙리장 기욤 마르탱(Henri-Jean Guillaume Martin), 프랑스, 화가, 1860-1943 앙리장 기욤 마르탱(Henri-Jean Guillaume Martin) 은 프랑스의 후기 인상주의 화가로, 주로 점묘법과 상징주의적인 요소를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로 유명합니다. 초기에는 사실주의적 경향을 보였지만, 이후 신인상주의(점묘법)와 상징주의적인 요소를 결합한 스타일을 확립했습니다. 인상주의의 밝고 화사한 색감과 점묘법의 세밀한 표현을 혼합하여 따뜻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해 풍경화, 신화적 주제, 시적인 분위기의 그림을 많이 그렸습니다. 특히 프랑스 남부의 자연경관을 따뜻한 색조와 빛의 효과를 강조하여 표현했습니다. 그의 화풍은 신인상주의와 후기 인상주의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2025. 5. 8.
마르샬 레스(Martial Raysee), 프랑스, 예술가, 1936-현재 마르샬 레스(Martial Raysee), 프랑스, 예술가, 1936-현재프랑스의 중세 마을에서 살고 있는 '마르샬 레이스', 그는 고전의 명작들을 지금 이 시대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누보 레알리즘' 작가입니다. "Made in Japan"은 그의 대표작이죠. 19세기 '앵그르'의 "그랑 오달리스크" 작품을 소재로 하여 재해석한 이 작품에는 매우 도발적인 패러디를 담고 있습니다. 1960년대 당시 유럽의 공산품을 마구잡이로 베껴다가 세계시장에 진출하던 일본을 빗대어 제목을 붙였답니다. 그림 속 '오달리스크'는 프랑스 제품을 흉내 낸 일본제 실크 스카프를 머리에 두르고 있으며, 작가는 여인의 머리 위에다 플라스틱 파리를 슬쩍 배치하여 일본을 조롱하고 있죠. 이처럼 기존의 작품에다 형광색채를 입히고, 현란한.. 2025. 5. 6.
질베르 르그랑(Gilbert Legrand), 프랑스, 예술가, 1954-현재 질베르 르그랑(Gilbert Legrand), 프랑스, 예술가, 1954-현재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나 광고회사에서 일하던 '질베르 르그랑'은, 재활용의 마술사입니다. 일상의 평범한 물건들에 재치 있는 그림을 그려 생명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작가의 독특한 해석으로 생활용품이 위트있는 작품으로 변신하죠. 슈퍼맨으로 변신한 경첩, 서로 키스하는 가위, 놀랍고 재미있는 상상력입니다. About Him Born in the Paris region, has lived and worked in Toulouse for 25 years.Gradu.. 2025. 5. 4.
폴 자쿨레(Paul Jacoulet), 프랑스, 화가, 1896-1960 폴 자쿨레(Paul Jacoulet), 프랑스, 화가, 1896-1960프랑스의 '폴 자쿨레'는, 3살 때 도쿄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쳤던 아버지를 따라와 평생을 일본에서 살았습니다. 개인지도로 일본 전통 목판화를 배웠으며, 일본과 중국 남태평양 등 아시아 문화를 소재로 다색 목판화 작품을 제작한 판화가입니다. 아버지가 사망하고 어머니가 경성제대 의사와 재혼하자,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 1930년대에 조선 땅을 자주 방문했었죠. 조선에 각별한 애정을 갖게 된 그는, 1931년 조선인을 목판작업 조수로 고용하였고, 1949년엔 그의 딸 '나성순'을 양녀로 삼기까지 했습니다. 조선을 소재로 한 작품에는 단정한 선과 화려한 색채가 돋보이며, 한복의 유려한 선을 살리는데 많은 정성을 들였습니다. 다색판화의 장점을 살.. 2025. 3. 26.
크리스토프 자크로(Christophe Jacrot), 프랑스, 사진작가, 1960-현재 크리스토프 자크로(Christophe Jacrot), 프랑스, 사진작가, 1960-현재프랑스 파리에 살고 있는 '크리스토프 자크로'는, 젊은 시절 단편영화를 제작하며 주목을 받았으나 지금은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파리의 화창한 관광홍보 사진을 의뢰받았지만 비는 연일 퍼붓고, 결국 그는 악천후 속에서도 멋진 이미지를 포착하였고, 'Paris in the Rain' 시리즈 작품으로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이후 그는 비가 온다든지, 안개가 끼었다든지, 폭설이 내리는 등 극도로 나쁜 날씨 속에서 풍경사진을 찍는 '악천후 전문작가'가 되었습니다. 특히 눈 속에서 찍은 그의 작품에서는 빛의 뉘앙스와 극적인 긴장감, 그리고 차가운 공기가 느껴집니다. 아이슬란드와 페로제도, 알프스, 시베리아의 북쪽 도시 등을.. 2025. 3. 26.
마리 로랑생(Marie Laurencin), 프랑스, 화가, 1883-1956 마리 로랑생(Marie Laurencin), 프랑스, 화가, 1883-1956마리 로랑생 (Marie Laurencin, 1883년 10월 31일 - 1956년 6월 8일)은 프랑스의 화가이다. 그녀는 섹션 도르(Section d' Or)와 관련된 입체파의 일원으로 파리 아방가르드에서 중요한 인물이기도 하다. 로랑생은 프랑스 파리에서 사생아로 태어났으며, 생애의 대부분을 어머니와 함께 그곳에서 살았다. 18세에 그녀는 세브르에서 도자기 그림을 공부했다. 그 후 그녀는 파리로 돌아와 Académie Humbert에서 미술 교육을 계속하다가 유화를 그리는 것에 좀 더 집중하게 되었다. 20세기 초반, 로랑생은 파리 아방가르드에서 중요한 인물이었다. 파블로 피카소 (Pablo Picasso)와 장 메칭거 (J.. 2025. 3. 10.
테오필 스타인렌(Théophile Alexandre Steinlen), 프랑스, 화가, 1859-1923 테오필 스타인렌(Théophile Alexandre Steinlen), 프랑스, 화가, 1859-1923스위스 출신의 예술가 '테오필 스타인렌'은, 프랑스에서 순수미술과 상업미술 분야에서 활동하며 큰 명성을 얻었습니다. 20대 초반 파리 몽마르트르에 자리 잡고선 '로트렉' 등 동년배 화가들과 친분을 쌓으며 대담한 색채로 포스터 디자인을 많이 했습니다.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예술가들의 집결지 '르 샤 누아르 (Le Chat Noir 검은 고양이)' 카바레의 공연 포스터는, 검은색과 붉은색만을 써서 눈길을 끌게 한 히트작이었죠. 당시 몽마르트르에는 예술과들과 함께 노동자들과 보헤미안의 상징이었던 고양이가 많이 살았는데, 화가는 고양이의 문화적 존재를 강하게 표현했답니다.                     .. 2025. 2.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