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74

연말이면 꼭 사게 되는 케이크, 가심비 케이크 맛집 5곳 취향에 따라 여러 곳에 방문해 보며 최애 케이크를 찾아보자! 1. 피오니홍대의 대표적인 디저트 맛집 중 하나인 피오니는 신선한 딸기를 듬뿍 사용한 생크림 케이크로 유명하다. 부드러운 식감과 달콤한 맛이 특징이다. 매일 12시부터 22시까지 운영하며, 마포구 독막로7길 51에 자리 잡고 있다. 주차는 인근 공영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2. 키친 205또 다른 홍대의 디저트 맛집 키친205는 상큼한 딸기를 가득 넣은 케이크로 인기를 끌고 있다. 프랜차이즈 카페로서 안정된 맛과 품질을 보장한다. 마포구 와우산로 101에 위치하며, 매일 11시부터 22시까지 영업한다. 주차는 인근 유료 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3. 프랑제리신촌에 위치한 프랑제리는 딸기와 쑥을 조합한 독특한 ‘딸기쑥대밭’ 케이크로 사랑받고 있다.. 2024. 12. 31.
해리포터 덕후를 위한 공간 4곳 (feat. 이맘때 생각나는 해리포터를 찾아서) 매년 이맘때쯤이면 해리포터를 떠올리곤 하지만, 얼마 전 뉴진스가 일본 도쿄 해리포터 스튜디오에서 호그와트 마법학교 학생으로 깜짝 변신해 무대를 선보이며 해리포터 덕후들의 마음을 다시 한번 설레게 했다. 뉴진스처럼 실제 해리포터 스튜디오엔 가지 못해도 국내에도 충분히 영화 속 한 장면에 들어와 있는 듯한 분위기를 낼 수 있는 곳들이 있으니 너무 아쉬워 말자. 1. 943 킹스크로스 카페 | 호그와트로 통하는 비밀 승강장이미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킹스크로스역 9와 ¾ 승강장으로 가야 호그와트로 향하는 급행열차에 오를 수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서울 홍대에도 9와 ¾ 승강장이 있다. 해리포터를 콘셉트로 만들어진 카페 중 가장 유명한 943 킹스크로스가 그곳이다. 마법 지팡이를 살 수 있는 공간, 그리핀도르 .. 2024. 12. 31.
외국인들이 놀라워하는 7가지 한국의 일상 (feat. K-일상) 외국인은 깜짝 놀라는, 한국만의 평범하지만 특별한 일상. 1. 밑반찬 무한리필한국을 처음 방문하는 외국인들은 평범한 식당에 방문해도 줄줄이 나오며 차려지는 밑반찬에 당황하거나 놀라워한다. 단 한 가지 메뉴를 시켰을 뿐인데도 김치, 나물, 김 등 다양한 밑반찬에 때로는 커피나 아이스크림 등의 후식까지 무료라는 점에 ‘시킨 적이 없는데 왜 나오는 거지?’라며 의아해하는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밑반찬은 횟수에 상관없이 원하는 만큼 리필까지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조금 감동하기까지 한다. 2. 뚜렷한 사계절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가 큰 편이다. 한마디로 여름은 엄청 덥고, 겨울은 엄청 춥다. 그리고 이것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뚜렷한 특징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2024. 12. 29.
이왈종, 한국, 작가, 1979-현재 이왈종, 한국, 작가, 1979-현재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나 1979년부터 추계예술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0년 제주 서귀포로 내려가 작품에 전념하고 있다.  한국 전통문화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며, 자연, 특히 산과 물을 주제로 한 풍경화를 많이 그린다. 그는 수묵화의 고전적 양식에서 탈피하여, 수묵채색 작업의 현대화를 추구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자유로운 화면 구성과 화려하고 풍부한 색채감으로 특징지어지며, 아크릴, 부조 기법 등 동서양의 재료에 구애받지 않고 기법을 활용한다. 또한 평면과 입체를 넘나들며 보자기, 조각, 도자기 등 다양한 매체로 작업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처럼 그의 작품세계는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루며 한국 미술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시도로,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 2024. 12. 19.
최욱경, 한국, 화가, 1940-1985 최욱경, 한국, 화가, 1940-1985화려한 색채와 자유분방한 붓 터치가 특징인 현대적 추상표현주의 화가 '최욱경'은, 어릴 적 김기창과 박래현 부부의 화실에서 그림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서울대를 졸업한 1963년에 미국으로 가 서구의 새로운 미술양식을 받아들이고, 끝없는 실험으로 자신의 스타일을 만들어 갔습니다. 당시 한국의 현대미술은 단색화와 아방가르드 운동이 한창이었지만, 최욱경은 '조지아 오키프' 등의 영향을 받아 색과 형태를 강조한 색채추상화 작업을 이어갔죠. 미국과 한국에서 대학 교수로도 활동한 그녀의 작품에는 자유와 평화에 대한 열망이 가득 차 있고, 역동적인 에너지와 율동이 있습니다. 창작에 대한 열정으로 폭넓게 활동하던 그녀는  안타깝게도 40대 중반에 그만 삶을 놓고 말았습니다.  폴.. 2024. 12. 17.
전 세계가 탐낸 보물, 한국에 상륙한 아리카와 컬렉션 세계 유수 박물관들이 탐내는 보물, 알비온 아트(Albion Art) 설립자 카즈미 아리카와가 40년에 걸쳐 수집한 주얼리 컬렉션이 한국을 찾았습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세상이 몰랐던 가장 귀중한 문화유산’이라 극찬했고,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은 ‘인류 문명사의 숨겨진 보물’이라는 찬사를 보냈다. 롯데뮤지엄의 ‘The Art of Jewellery : 고혹의 보석, 매혹의 시간’展에서 이 전설적 컬렉션의 핵심 작품 208점이 공개된다. 20여 년간 주얼리 역사를 연구하며 이번 전시의 자문을 맡은 입장에서, 아리카와 컬렉션의 예술사적 가치는 압도적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개인 소장품이 한국에서 공개되는 것만으로도 이례적인데, 현대 미술관에서 이 정도의 규모로 선보이는 일은 처음이다. 기원전부터 2.. 2024. 12. 8.
박살났다고 지적받고 있는 학생들의 문해력 (feat. 한국 학생의 실태) 1. 문해력이라면글을 읽고 이해한 내용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해요. 글을 읽는 독해력과 스스로 생각하는 사고력이 더해졌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운데요. 사례를 들어 설명하자면 1) 어휘력이 있다면 : 기사의 단어를 대부분 알고 있어요.2) 독해력이 있다면 : 기사를 보고 세상 소식을 파악할 수 있어요. 3) 문해력이 있다면 : 기사에서 본 세상 소식을 지인에게 알려줄 수 있어요. 맞아, 10대 학생들의 문해력이 떨어졌다는 기사가 많더라고. 최근에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비슷한 논조의 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대부분의 교원(92%)이 말하길, 과거보다 학생들의 문해력이 떨어진 것으로 느꼈다고 해요. 시발점, 금일, 왕복 등의 단어를 몰랐던 일부 학생들이 그 사례로 등장했죠. 2. .. 2024. 10. 15.
노벨 문학상에 한국 소설가 한강, 한국 작가 최초 수상 쾌거 한강은 1970년 대한민국 광주에서 태어나 아홉 살 때 가족과 함께 서울로 이주했습니다. 아버지가 저명한 소설가인 문학가 집안 출신입니다. 글쓰기와 함께 미술과 음악에도 심취해 왔으며, 이는 그녀의 문학 작품 전반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한강은 1993년 잡지 문학과사회 (“문학과 사회”)에 다수의 시를 발표하며 문단에 등단하기 시작했습니다. 1995년 단편소설집 『여수의 사랑』으로  산문 데뷔를 했고, 곧이어 소설과 단편소설 등 여러 산문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작품은 소설 『그대의 차가운 손』 (2002, ' 그대의 차가운 손')으로, 예술에 대한 한강의 관심의 흔적이 뚜렷하게 남아 있습니다. 이 소설은 실종된 조각가가 여성의 신체 석고 모형 제작에 집착하며 남긴 원고를 재현한 작.. 2024. 10. 13.
하인두, 한국, 추상화가, 1930-1989 하인두, 한국, 추상화가, 1930-1989창녕 출신의 '하인두'는 한국 현대미술의 1세대 추상화가입니다. 한국적 미감과 불교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기하학적 색면 추상에 몰두했던 하인두 화가는, 강렬한 동양적 색채를 캔버스에 쌓아 올려 모던한 화면을 완성했습니다. 오방색과 기하학적 패턴으로 묘사된 그의 작품은 신비한 에너지로 가득 차있죠. 하인두 화백의 딸, '하태임 (1973~ )' 화가는 맑은 색상의 컬러 밴드를 활용하여 아버지에 대한 오마쥬 작품을 그렸습니다.  메랍 아브라미슈빌리(Merab Abramishvili), 조지아, 화가, 1957-2006메랍 아브라미슈빌리(Merab Abramishvili), 조지아, 화가, 1957-2006'메랍 아브라미슈빌리'는 조지아(옛 그루지아)의 현대미술 화가입.. 2024. 9.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