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농담2 기분 좋게 웃을 수 있는 만우절 5가지 농담 추천 매년 4월 1일, 가벼운 거짓말로 웃을 수 있는 하루가 주어진다. 1. 사무실 마우스 트릭팀원의 마우스 바닥에 작은 포스트잇을 붙여 놓는다. ‘만우절! 놀랐지? 4월도 화이팅’ 같은 문구를 적어 둔다. 출근하자마자 마우스를 잡고 조작한 사람은 움직이지 않는 커서를 보고 놀란다. 이내 마우스에 문제가 있는지 뒤집어 볼 것이다. 그리고 귀여운 쪽지를 발견하게 되겠지? 과하지 않으면서 가벼운 웃음을 줄 수 있는 장난이다. 2. ‘꿈에서’ 농담“나 초능력이 생겼어. 아침에 눈을 뜨면 공중에 떠 있어.”, “나 어제 이상형한테 고백받았어.” 큰 이슈를 말한 다음에 “꿈에서…”를 덧붙이는 것이다. 커진 기대감에 대비되는 황당한 농담에 피식 웃으며 하루를 시작할 수 있다. 평소 바라던 일을 상상하고 말하며 나 역시 .. 2025. 4. 2. 심리학자들이 알려주는 새해 인사 문구 잘 쓰는 7가지 방법 새해 복 많이 받으세.. 이제 뭐라고 쓰지? 1. 부정어 쏙 빼기“올해도 힘들겠지만 잘 견뎌봐요!”같은 말은 대문자 ‘T’여도 절대 하지 말자. 인간은 누구나 부정적 정보를 더 강하게 인식하는 ‘부정 편향’을 갖고 있다. 부정어가 섞인 새해인사는 뇌의 방어적 반응을 촉발해 불안을 촉발하고 새해에 대한 기대감을 떨어뜨리기 마련. 긍정적이고, 건설적 단어만 사용하자. 2. 구체적이고 개인적으로 쓰기똑같은 말을 복사, 붙여 넣기 하는 새해인사보다 메시지를 받는 사람만을 위한 글을 보내는 게 낫다. 개인적인 메시지는 심리학적으로 상대가 자신의 가치와 중요성을 느끼게 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정말 멋진 일을 하셨더군요, 새해에도 더 많은 성과를 이루시기 바랍니다.”처럼 상대방의 최근 상황, 특히 성.. 2024. 12. 3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