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취감3

내가 뭘 잘하는지 모를 때 해야할 6가지 일 알리바바의 창시자 마윈은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은 경험이 가난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뭘 잘하는지 모르겠을 때는 일단 뭐라도 시작해야 한다. 일단은 이런 걸 시작해 보자.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수월해진다. 앞날이 보이지 않는 2030, 그리고 4050은 고개를 들어 여기를 보세요. 1. 성취감 느낀 순간 떠올리기사람마다 성취감을 느끼는 포인트가 다르다. 10분 단위로 여행 계획을 세웠을 때, 여러 사람과의 협업을 멋지게 진두지휘 했을 때, 갈등 상황을 부드럽게 풀어냈을 때, 자로 잰 것처럼 정확한 엑셀 파일을 만들었을 때 등. 두고두고 꺼내 먹는 ‘멋진 나’에 대한 기억을 하나씩 떠올려보자. 성취감은 자기 성찰의 가장 정확한 척도 중 하나다. 2. 물어보기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사람들이 있다. 특.. 2025. 2. 10.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일 달리기 하면 좋은 7가지 장점 매일 달린다면 인생이 달라질까? 1km부터 시작해도, 7분 대의 페이스여도, 실내에서 달려도 괜찮다. 일단 달리기 시작하면 이런 점이 달라질 것이다. 1. 성취감이 생긴다달리기는 다른 운동에 비해 목표 설정이 쉽다. 시간이나 거리를 정해두고 그만큼 달리면 된다. 꾸준히 해나가는 습관을 설정하기에도 편리하다. 달리는 동안 우리 뇌의 내분비 시스템에서는 엔도르핀과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하는데 이 호르몬은 충만감과 고양감을 충전한다. 매일 해냈다는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자기 만족감과 행복감이 따라오게 되는 것이다.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이렇게 말했다. “무슨 일이 있어도 달리는 것을 그만둘 수는 없다. 매일 달린다는 것은 나에게 생명선과 같은 것으로, 바쁘다는 핑계로 인해 건너뛰거나 그만둘 수는 .. 2024. 10. 6.
작은 성취를 인정했을 때 생기는 기적 (feat. 리더가 구성원을 인정하는 행위) 리더가 구성원을 ‘인정’하는 행위는 구성원이 성취감을 느끼고 성장을 체감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리더의 인정을 받고 싶었던 경험이 있을 텐데요. 문제는 조직 내 인정에 대한 여러 가정과 믿음이 종종 리더가 인정을 자제하게 만든다는 점입니다. 특히 일상적인 ‘작은 승리’에 대해 인정을 자제하는 건데요. 이렇게 되면 구성원들은 가끔 있는 인정 행위에 필요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1. 리더가 버려야 하는 세 가지 믿음 1) 말뿐인 칭찬은 의미가 없다 단지 “잘했다” “고생했다”라는 무형적인 말만으로는 구성원들이 ‘리더로부터 인정받고 있음’을 인지하기 부족합니다. 조직, 리더가 구성원의 일과 노력, 공헌을 중요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만들려면 유형적 보상.. 2024.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