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사소통3 막무가내 꽉 막힌 사람을 상대하는 마법의 7가지 언어 인간은 항상 옳을 수가 없고 그래서도 안된다. 그래도 ‘나는 틀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염불 하는 이들은 더러 있다. 그와 싸워 이기려고 하지 말자. 사랑이 필요한 사람들이다. 1. 그럴 수도 있겠다무리한 주장을 하며 우기는 사람이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기 시작하면 답이 없다. 이 싸움이 더 얼토당토않은 방향으로 가기 전에 막아야 한다. 이를 꽉 깨물고 “그럴 수도 있겠다”라고 말하자. 상대의 태도는 일단 누그러든다. 이후엔 더욱 열린 마음으로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2. 그래서 화가 났구나연구에 따르면 ‘우기는 사람’은 사랑과 관심을 안정적으로 보장해 주는 존재가 있을 땐 우기지 않는다. 객관적 사실들을 앞에 두고도 내가 맞다고 우기는 사람은 사실 타인에게 인정받기를 바라는 중이다. 내가.. 2025. 3. 3. 사람 때문에 지쳤다면? 어려운 사람과 잘 지내는 9가지 방법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유독 어려운 사람이 있다. 기가 세거나 말수가 적은 사람들. 이들과 잘 지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관심사 파악사람들은 자신의 관심사에 대해 이야기할 때 편안함을 느낀다. 상대방이 관심을 갖는 주제를 자연스럽게 물어보거나 관련된 이야기를 꺼내는 것도 대화의 물꼬를 트는 데 도움이 된다. 2. 의도를 선의로 해석하기기가 센 사람의 강한 태도나 말이 적은 사람의 무심한 반응을 부정적으로 해석하지 말자. 이런 사소한 오해 때문에 감정이 상한다. 3. 감정 다스리기어려운 사람과 대화할 때는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이 불쾌하게 느껴지더라도 깊게 숨을 들이쉬고 침착함을 유지하자. 흥분하면 지는 거다. 4. 관점 이해하기역지사지. 도무지 이해되지 않는 상황.. 2024. 11. 28. 언어와 문화 차이를 극복하고 외국인 친구 사귀는 6가지 방법 “하우 아 유?”, “파인 땡큐, 앤드 유?” 1. 개방적인 태도 유지심리학자 Geert Hofstede의 연구(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에 따르면,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개방적인 태도를 가지면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쉽게 가까워질 수 있다고 한다. 여행 유튜브나 다큐멘터리 등을 통해 친구의 문화를 미리 알아두면 문턱이 한결 낮아진다. 2. 서로의 언어 배우기Lantolf와 Poehner의 ‘사회문화적 언어 학습 이론’에 따르면, 타인의 언어를 배우려는 노력은 대인관계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남긴다고 한다. “이건 프랑스어로 뭐라고 해?” 이런 식으로 틈날.. 2024. 10.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