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재3 가정 내 화재 예방을 위한 10가지 기본 수칙 (feat. 365일 불조심) 어디서 타는 냄새 안 나요? 화재는 예고 없이 찾아온다. 한순간의 실수가 엄청난 피해를 초래한다. 특히 가정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사소한 부주의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소방청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화재 건수는 약 4만 건에 달하며, 이 중 30% 이상이 주거시설에서 발생했다.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가정에서 필요한 화재 예방 수칙들을 모아봤다. 1. 전기 코드는 사용하지 않을 때 뽑아두기전자기기를 장시간 꽂아두면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특히 멀티탭에 여러 개의 전자기기를 연결하면 과부하로 인해 화재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사용 후에는 플러그를 뽑아두자. 전자기기 배터리 수명에도 좋다. 2. 문어발식 멀티탭 사용 금지하나의 멀티탭에 여러 개의.. 2025. 2. 23. 겨울 필수템 전기장판 사용 시 지켜야 하는 6가지 안전 수칙 난방비 절약의 아이콘인 전기장판. 하지만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저온 화상이나 화재와 같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1. 사용 전 점검전기장판을 사용하기 전, KC 마크와 EMF 마크 유무를 확인해 제품의 안전성과 전자파 적합성을 검증하자. 또한, 코드나 플러그, 장판 표면에 손상이 없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2. 적정 온도 설정장시간 사용할 때는 저온(30~40도)으로 설정하는 것이 안전하며, 고온 설정은 단기간만 사용하고, 고온 상태로 잠들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타이머 기능이 있는 제품을 사용하거나, 5시간 사용 후 1시간 정도 전원을 꺼 과열을 방지하는 방법도 있다. 3. 올바른 사용 환경피부가 장시간 전기장판과 닿으면 저온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으니, 얇은 이불이나 패드를 깔아 피부가 직.. 2024. 11. 19. 그냥 지나치면 위험한 6가지 전기 화재 원인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는, 그래서 예방이 더욱 중요한 전기 화재의 원인. 1. 형광등형광등 기구 내에서 발생하는 출화위험은 안정기의 절연열화에 의한 발열, 조립 불량에 의한 코일의 손상, 콘덴서의 절연열화, 코드 및 리드선의 단락, 누전 등이 있다. 때문에 형광등을 갈아 낄 때는 항상 전기 안전에 신경 써야 하고, 조립 불량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경 써서 조립해야 한다. 2. 접속불량접속불량으로 인한 전기 화재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선과 기기 간 접촉 상태가 헐거울 때 저항열이 증가하여 발열(아산화동 발열현상)에 의해 화재를 일으키게 되는데, 집이나 공장 등의 건물뿐만 아니라 자동차에서도 접속불량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전기 자동차의 전.. 2024. 10.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