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업/자기개발459

올더스 헉슬리, <영원의 철학>에 대한 변명 (feat. 과학적 물질주의도 하나의 형이상학) 헉슬리는 인류의 집단의식이 진리를 직관적으로 포착해 왔다고 믿고, 이를 ‘영원의 철학’이라고 불렀다. 그중에서도 인도 힌두이즘의 베단타철학을 주춧돌로 삼고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신비전통과 동양의 불교와 노장사상을 기둥으로 세워 이 책을 구성했다. 대중교화를 위한 유치원적 법문이 횡행하는 제도로서의 종교 너머에 진리를 직접 겨냥한 신비전통이 동서고금을 통해 보편적으로 전해져오고 있다는 것이다. 책머리에서 헉슬리는 ‘영원의 철학(philosophia perennis)’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영원의 철학은 사물  생명  마음의 세계에 본질적인 ‘신성한 실재(divine reality)’가 있음을 인정하는 형이상학으로, 아득한 옛날부터 전해져 온 보편적인 개념이다.” 여기서 이 책에서 설파된 교설이 과학적 .. 2024. 9. 17.
기업의 리더란 무엇인가? (feat. 팀 쿡의 이야기) 이번 연도가 벌써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이 믿기지가 않는데요. 시간이 부쩍 빨리 지나가는 것 같은 요즘입니다. 오늘은 어떤 주제로 인사를 드려야 할지 꽤 오래 고민을 했었는데요. 그동안 제가 지하철로 출퇴근하면서 봐왔던 콘텐츠들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1. 팀 쿡의 이야기, 기업의 리더란가수 두아리파가 호스트인 [Dua Lipa at your service]의 가장 최신 에피소드(23년 11월)의 게스트는 애플의 CEO, 팀 쿡이었습니다. 저는 애플 팟캐스트를 통해 들은 터라 두아 리파와 이야기하는 팀 쿡의 모습이 상상이 안 갔었는데요. 영상으로 보니 기업인의 느낌보다는 굉장히 편안한 차림으로 서로 편하게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 중 하나인 애플, 그리고 애플을 경영하는 팀 쿡의 .. 2024. 9. 17.
행복이란 무엇일까 (feat. 내향인들도 여러 사람들과 함께할 때 더 즐겁다) 여러분들은 어느 때에 행복하신가요? 저는 달달한 초콜릿이 들어간 디저트를 먹을 때, 혹은 아무것도 안 하고 누워있을 때도 행복을 느낍니다. 행복은 ‘복된 좋은 운수,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함. 또는 그러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얼마 전, 세계적인 행복 심리학자 서은국 연세대 교수님께서는 방송에서 행복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들을 해주셨는데요. 요약하면 내용은 이렇습니다. 행복은 걱정이 없고 불행하지 않은 것이 아니고, 불행을 없앤다고 해서 행복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개인이 느끼는 신체적, 정신적, 즐거움의 합이 많은 사람은 행복한 사람으로, 그렇지 않은 사람은 덜 행복한 사람이다.우리의 뇌는 생존 확률을 높이는 데 집중하기 때문에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주는데 일말의 관심이 없다.행복함을.. 2024. 9. 14.
사람이 성찰을 통해 성숙하게 만드는 목표 목표는 사람을 성찰하게 만든다. 목표가 있는 사람은 주기적으로 자신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지 돌아보게 된다. 사람은 그런 성찰을 통해 성숙하게 된다. 목표가 있으면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금 무엇을 해야 할지 확실히 알 수 있다. 유치하고 사소한 목표라도 목표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은 일하는 자세도 다르고 결과도 다르다. 목표가 없으면 코앞의 작은 이익에 끌려 다니기 쉽지만, 목표가 있으면 무엇이 최선인지 알고 거기에 맞게 행동하기 때문이다. 목표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하나는 빈 병의 삶이고 다른 하나는 연어의 삶이 된다. 큰 차이가 난다. 세상이 파도라고 할 때 빈 병은 출렁이는 파도에 몸을 맡기고 이리저리 떠밀려 살 수밖에 없다. 뭔가 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 2024. 9. 10.
나만 알고 싶은 숏폼 꿀팁 (feat. 2024 TikTok Creative Day) 인스타그램, 유튜브는 익숙한데 틱톡은 '10대가 많이 쓰고, 춤추는 챌린지 보는 SNS 아니야?' 정도로 생각하셨던 분이라면, 오늘 레터를 꼭 읽어보셔야 합니다! 읽고 나면 '숏폼 한번 시작해 봐야겠는데..?' 하실 거예요. 에서만 배울 수 있는 숏폼 꿀팁을 가져왔거든요. 숏폼을 해야 하는 이유, 콘텐츠 제작 전략과 함께 틱톡을 잘 활용한 사례까지 알려드릴게요. 1. 숏폼, 왜 중요한 건데요?1) 숏폼의 장점① 요즘 현대인의 콘텐츠 소비 형태에 최적화된 플랫폼② 트렌드의 흐름을 쉽게 따라 하기 좋은 시스템③ 짧고 임팩트 있는 도입부로 사로잡을 수 있는 콘텐츠 숏폼은 이미 우리에게 익숙해진 콘텐츠가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많은 마케터분들이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를 활용한 마케팅은 이미 고민하고 계시는.. 2024. 9. 8.
킬러 프레젠테이션의 비밀 (feat. 키워드 그리고 스토리전개) 오늘날 프레젠테이션은 사람들 앞에서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파워포인트를 활용해 발표하는 것을 가리키는데요. 사실 파워포인트가 나오기 이전부터 발표는 매우 중요한 행위였어요. 중세 교회는 고딕 성당에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을 달아 신자들이 보고 있는 것만으로 예수님이 걸은 길을 느끼게 했다고 합니다. 또 1801년 스코틀랜드의 교사 제임스 필란이 칠판을 최초로 사용한 이래, 지금껏 교사들은 칠판을 활용해 학생을 가르칩니다. 1. 발표는 중요하지만이뿐인가요. 1961년 미국항공우주국(NASA) 과학자들은 무려 3층 높이 칠판을 걸어두고 공식을 써 내려가면서 이를 발표했습니다. 이후 차츰차츰 기술이 발전했는데요. 종이를 한 장씩 넘기는 플립 차트(1910년대), 한 장씩 이미지를 투사해 보여주는 필름 스트립(19.. 2024. 9. 8.
일본의 영향을 받으며 독자적으로 발전한 한국식 글쓰기 (feat. 파소나 공식) 한국식 글쓰기는 일본의 영향을 받으며 독자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파소나 공식"입니다. 파소나 공식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됩니다 Problem (문제제기): 고객이 겪고 있는 고통을 명확하게 제시합니다.Affinity (친근감 표현): 고객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친근감을 표현합니다.Solution (해결책 제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Offer (제안하기): 매력적인 조건을 제안합니다.Narrowing Down (제한두기): 특정 고객을 타겟팅하고 제한을 둡니다.Action (행동 촉구): 즉각적인 행동을 유도합니다. 한류 글쓰기는 여기에 두 가지가 더 추가됩니다자격증명과 효과증명입니다. 자격증명은 '나도 한때는 실패했지만, 몇 년간의 노력 끝에 성공했다'는.. 2024. 9. 4.
게임이 가진 장단점 (feat. 플레이스테이션이 가진 긍정적 효과에 대한 논문을 중심)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많은 사람이 쉽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됐습니다. 이 와중에도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스위치와 같은 게임들은 여전히 자신만의 확고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가격이 만만치 않다 보니 구매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결혼하고 아이까지 있다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워요. 정확히 말하면 ‘허락’을 받기가 어려운 거지만요. 이번에는 플레이스테이션이 가진 긍정적 효과에 대한 논문을 중심으로 게임이 가진 장단점을 살펴볼게요. 1. PS와 닌텐도, 정신건강에 최고지난주 발표된 따끈따끈한 연구 논문입니다. 일본 니혼대학 연구진은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쓸던 2020~2022년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플레이스테이션과 같은 게임기 판매량이 급증했었다는 사실, 기억하.. 2024. 9. 2.
성공을 위한 세가지 규칙 (feat. 아이디어 미로 게임) 테크 업계에서 가장 핫한 소식 중 하나를 꼽으라고 한다면, 연쇄 창업자인 이승윤 대표가 이끄는 스타트업 가 창업 2년 만에 3조 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은 것인데요. 세계적 벤처캐피털인 앤드리슨호로위츠(a16z) 뿐 아니라 삼성넥스트와 방시혁 하이브 의장 역시 투자자로 참여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PIP랩스는 지식재산권 생태계 플랫폼인 스토리의 개발사입니다. PIP랩스가 개발한 는 크레이터가 자신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 수익을 창출하도록 돕는 플랫폼인데요. 오늘날 AI가 발전하면서 수많은 데이터를 불법 학습하고 있는데, PIP랩스는 이런 문제점에 착안,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합니다. 복잡한 법적 절차 없이 창작자들이 수익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고 합니다. 오늘 뉴스레터는 이승윤 대표가 넘어지고 일어서면서 성.. 2024. 8.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