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업/자기개발455 나만 알고 싶은 숏폼 꿀팁 (feat. 2024 TikTok Creative Day) 인스타그램, 유튜브는 익숙한데 틱톡은 '10대가 많이 쓰고, 춤추는 챌린지 보는 SNS 아니야?' 정도로 생각하셨던 분이라면, 오늘 레터를 꼭 읽어보셔야 합니다! 읽고 나면 '숏폼 한번 시작해 봐야겠는데..?' 하실 거예요. 에서만 배울 수 있는 숏폼 꿀팁을 가져왔거든요. 숏폼을 해야 하는 이유, 콘텐츠 제작 전략과 함께 틱톡을 잘 활용한 사례까지 알려드릴게요. 1. 숏폼, 왜 중요한 건데요?1) 숏폼의 장점① 요즘 현대인의 콘텐츠 소비 형태에 최적화된 플랫폼② 트렌드의 흐름을 쉽게 따라 하기 좋은 시스템③ 짧고 임팩트 있는 도입부로 사로잡을 수 있는 콘텐츠 숏폼은 이미 우리에게 익숙해진 콘텐츠가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많은 마케터분들이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를 활용한 마케팅은 이미 고민하고 계시는.. 2024. 9. 8. 킬러 프레젠테이션의 비밀 (feat. 키워드 그리고 스토리전개) 오늘날 프레젠테이션은 사람들 앞에서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파워포인트를 활용해 발표하는 것을 가리키는데요. 사실 파워포인트가 나오기 이전부터 발표는 매우 중요한 행위였어요. 중세 교회는 고딕 성당에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을 달아 신자들이 보고 있는 것만으로 예수님이 걸은 길을 느끼게 했다고 합니다. 또 1801년 스코틀랜드의 교사 제임스 필란이 칠판을 최초로 사용한 이래, 지금껏 교사들은 칠판을 활용해 학생을 가르칩니다. 1. 발표는 중요하지만이뿐인가요. 1961년 미국항공우주국(NASA) 과학자들은 무려 3층 높이 칠판을 걸어두고 공식을 써 내려가면서 이를 발표했습니다. 이후 차츰차츰 기술이 발전했는데요. 종이를 한 장씩 넘기는 플립 차트(1910년대), 한 장씩 이미지를 투사해 보여주는 필름 스트립(19.. 2024. 9. 8. 일본의 영향을 받으며 독자적으로 발전한 한국식 글쓰기 (feat. 파소나 공식) 한국식 글쓰기는 일본의 영향을 받으며 독자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파소나 공식"입니다. 파소나 공식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됩니다 Problem (문제제기): 고객이 겪고 있는 고통을 명확하게 제시합니다.Affinity (친근감 표현): 고객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친근감을 표현합니다.Solution (해결책 제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Offer (제안하기): 매력적인 조건을 제안합니다.Narrowing Down (제한두기): 특정 고객을 타겟팅하고 제한을 둡니다.Action (행동 촉구): 즉각적인 행동을 유도합니다. 한류 글쓰기는 여기에 두 가지가 더 추가됩니다자격증명과 효과증명입니다. 자격증명은 '나도 한때는 실패했지만, 몇 년간의 노력 끝에 성공했다'는.. 2024. 9. 4. 게임이 가진 장단점 (feat. 플레이스테이션이 가진 긍정적 효과에 대한 논문을 중심)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많은 사람이 쉽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됐습니다. 이 와중에도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스위치와 같은 게임들은 여전히 자신만의 확고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데요, 가격이 만만치 않다 보니 구매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결혼하고 아이까지 있다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워요. 정확히 말하면 ‘허락’을 받기가 어려운 거지만요. 이번에는 플레이스테이션이 가진 긍정적 효과에 대한 논문을 중심으로 게임이 가진 장단점을 살펴볼게요. 1. PS와 닌텐도, 정신건강에 최고지난주 발표된 따끈따끈한 연구 논문입니다. 일본 니혼대학 연구진은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쓸던 2020~2022년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플레이스테이션과 같은 게임기 판매량이 급증했었다는 사실, 기억하.. 2024. 9. 2. 성공을 위한 세가지 규칙 (feat. 아이디어 미로 게임) 테크 업계에서 가장 핫한 소식 중 하나를 꼽으라고 한다면, 연쇄 창업자인 이승윤 대표가 이끄는 스타트업 가 창업 2년 만에 3조 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은 것인데요. 세계적 벤처캐피털인 앤드리슨호로위츠(a16z) 뿐 아니라 삼성넥스트와 방시혁 하이브 의장 역시 투자자로 참여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PIP랩스는 지식재산권 생태계 플랫폼인 스토리의 개발사입니다. PIP랩스가 개발한 는 크레이터가 자신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 수익을 창출하도록 돕는 플랫폼인데요. 오늘날 AI가 발전하면서 수많은 데이터를 불법 학습하고 있는데, PIP랩스는 이런 문제점에 착안,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합니다. 복잡한 법적 절차 없이 창작자들이 수익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고 합니다. 오늘 뉴스레터는 이승윤 대표가 넘어지고 일어서면서 성.. 2024. 8. 30. 칼퇴 돕는 효자 사이트 7가지 추천 (feat. 일잘러의 기본) 1. 업무 메일 보낼 때마다 1시간씩 순삭 된다면 예스폼https://bizmail.yesform.com/ 예스폼 메일 인사말 전문사이트메일작성이 쉬워집니다. 국내 최대 메일예문을 만나보세요! 인사말 4,800+ 메일본문 샘플 7,500+ 맺음말 1,700+ 영문메일 3,800+bizmail.yesform.com 예전에 한 번 소개했던 적이 있는데, 많은 분들이 정말 유용하다는 폭발적인 반응이 있었어요. 그래서 한 번 더 소개합니다. 예스폼은 기본적인 메일 인사말부터 제안/주문/안내/보고/거절 등 상황에 맞는 본문 예시를 알려주는 사이트예요. 업무 메일 쓰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이라면 상황에 맞게 참고해 보시는 걸 강력 추천해요! 다소 딱딱한 문체도 있지만, 적절히 참고해서 나의 문체로 바꿔 사용.. 2024. 8. 29. 20세기 철학의 최대 화두, 이성에서 언어로 (feat. 언어론적 전환) 20세기 철학의 최대 화두의 하나는 언어다. 그런데 그것은 철학사적으로 육체[몸]의 발견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육체의 발견이 있었다는 것은 철학함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을 암시한다. 인간에게서 본질적인 것이라 여겨졌던 모든 것이 다 육체 안에서 육체가 주도해서 벌이는 활동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관점이 자리를 잡는다. 무시간적, 초역사적 절대 주체가 있어서 역사와 시간을 초월하여 모든 인간에게 두루 통하는 진리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내던져진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이 시간의 흔적이 담긴 진리의 형태를 자신들의 유한한 표현수단으로 자기 것으로 만들며 전해줄 뿐이다. 근대의 인식론적 사유 틀에서는 초월론적 [선험적] 주체 또는 자아가 핵심개념의 자리에 있었다. 여기에서 “초월론적”은 “대상을 구성하는.. 2024. 8. 19. 30대 초반 여성 CEO의 성공 이야기 (feat. 자기실현적 예언) 경기도 부천의 일반고가 학력의 전부인 30대 초반 여성 CEO, 23살(2015) 때 네이버 블로그 마켓 '마뗑킴'을 시작, 같은 이름의 법인을 설립(2018)한 지 5년 만인 지난해 매출 1,000억 원을 달성한 '마뗑킴' 김다인(32) 대표 이야기. “어차피 공부 쪽엔 승산 없고, 공부로 성공할 것도 아닌데 왜 대학에 가야 하지?” 취미도 없는 공부를 하며 무작정 대학 입시에만 매달리는 고교생들, 그 부모들이 깊이 생각해 봐야 할 이야기다. “엄마가 준 30만 원으로 동대문에 달려가 거친 상인들 상대하며 점퍼 두 장을 샀다. 막차는 진작에 끊기고 수중엔 4000~5000원뿐이었다. 카페에서 유자차를 앞에 두고 부천 가는 첫차를 기다리며 포스트잇에 이렇게 썼다. ‘성공할 거다’. 이 메모가 자기실현적 .. 2024. 8. 19. ESC 8주년 기념 강연 (feat. 인문사회과학의 쓸모) ESC 8주년 기념 강연을 듣다가 약간 충격받았던 게 단순히 로봇 개발의 속도가 빠르다, 이런 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이 참 쓸모가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원래부터 쓸모없었다고 하면 할 말이 없는데, 그러니까 이런 거다. 내가 이해하는 한 독일철학이 바라보는 인간이라는 게 뭐냐? 자기반성이 되는 존재이다. 칸트부터 마르크스에 이르기까지의 독일철학은 그게 어떻게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쉽게 말하면 인간이라는 건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존재라고 본다. 그게 어떻게 가능한지는 모른다.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아무튼 설명을 시도하는 게 헤겔의 과 마르크스의 '노동' 개념이다. 인간이라는 건 부분의 합이 아니라, 부분의 합보다도 더 큰 '전체'로서 존재한다는 건데 나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과정도 딱 .. 2024. 8. 18.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5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