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

다이어트 실패를 막는 방어막 7가지 (feat. 다이어트 실패의 요인)

by 트렌디한 일반 상식 2025. 5. 5.
반응형

다이어트 실패를 막는 방어막 7가지 (feat. 다이어트 실패의 요인)
다이어트 실패를 막는 방어막 7가지 (feat. 다이어트 실패의 요인)

 

살을 빼는 것보다 다시 찌지 않도록 유지하는 게 더 어렵다.

 

1. 공복보다 ‘수면 부족’이 폭식을 부른다

살을 빼고 싶다? 그럼 잘 자야 한다. 하버드 의과대학의 ‘Sleep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연구에 따르면, 수면이 부족한 사람은 렙틴(포만감 유도 호르몬) 수치는 감소하고 그렐린(식욕 증가 호르몬) 수치는 증가해 식욕이 커진다고 했다. 또한, 시카고 대학의 연구에서는 하루 4시간 수면만으로도 탄수화물과 고지방 음식에 대한 갈망이 24% 증가한다고 보고했다.

 

2. 스트레스를 받으면, 지방이 쌓인다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은 복부 지방을 두껍게 만든다. 예일대 의과대학 연구팀은 장기간 스트레스를 받은 집단에서 복부 지방량이 평균보다 33% 이상 높게 측정됐다고 밝혔다.

 

3. 뭐 먹지? 고민할수록 더 먹는다

지금 이 순간도 ‘이따가 뭐 먹지?’ 다음 메뉴를 고민하는 이들이 있다. 뜨끔하지? 슬프지만 이런 고민이 살을 찌게 만든다. 미국 코넬대학교 식품연구소는 메뉴 선택 시간이 길수록 고칼로리 선택 확률이 20% 이상 증가한다고 발표했다. 의사결정이 뇌를 지치게 하고 즉각적인 보상을 추구하게 만들기 때문. 그래서 메뉴 선정은 전날 미리 해두는 게 좋다.

 

4. 다이어트 보상은 또 다른 폭식을 부른다

‘오늘 운동했으니까 치킨 먹어도 돼’ 이런 보상 심리가 문제다. ‘고생했으니까 이 정도는 괜찮겠지’, ‘치킨은 살 안 쪄’ 이런 생각이 다시 살을 부른다. 운동 후 보상은 음식 대신 따뜻한 반신욕이나 마사지로 대체하자.

 

5. 음식 사진, 먹방이 군것질 욕구를 자극한다

SNS, 유튜브 먹방 계정을 정리하자. MIT 뇌인지과학 연구소는 음식 사진을 자주 볼수록 도파민 분비가 증가해 실제 식사보다 더 강한 욕구를 유발한다고 밝혔다. SNS는 인생의 낭비다. 퍼거슨 경이 이런 말을 실제로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스마트폰을 멀리하고 책이나 신문을 보자.

 

반응형

6. 수분 부족은 배고픔으로 착각할 수 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 연구에 따르면 가벼운 탈수 상태에서도 허기 호르몬이 증가하고 포만감이 둔화한다고 한다. 특히 배고픔과 갈증은 뇌의 동일한 부위에서 처리되어 쉽게 혼동된다. 기상 후 한 컵, 식사 전 한 컵, 그리고 생각날 때마다 한 컵. 커피 마신 후에는 같은 양의 물을 보충하자.

 

7. 다이어트에도 동료가 필요하다

루피가 조로, 상디, 나미, 우솝, 쵸파 등을 동료로 삼은 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다. 다이어트를 위해서도 같이 운동하고 식단을 도와줄 동료가 필요하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은 같은 목표를 가진 동료가 있을 경우 다이어트 성공률이 65%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다이어트 동료는 동기 유발과 책임감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맨날 피곤한 직장인들이 연휴에 먹으면 좋은 7가지 음식

칼퇴는 꿈도 못 꾸고 쌓인 업무에 야근까지 시달렸던 직장인들, 연휴에는 이것을 챙겨 먹어야 한다. 1. 달걀정확히 이야기하면 달걀의 노른자가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된다. 달걀 노른자에 풍부하

mkpark03.tistory.com

 

 

환절기 감기, 독감에서 빠르게 벗어나는 7가지 꿀팁

누구나 아플 순 있지만 누구나 빠르게 나을 수 있는 건 아니다. 작은 습관이 환절기의 승부를 가린다. 1. 양치할 때 혀까지 닦기감기가 심할 때는 양치를 하자. 이게 무슨 말이냐고? ‘Journal of Clin

mkpark03.tistory.com

 

 

한 달간 귀에서 이어폰을 빼고 생활하면 생기는 변화

음악 없음. 팟캐스트 없음. 라디오도 없음. 조엘 파벨스키는 헤드폰을 빼고 현실 세계의 소음만으로 한 달을 보냈다. 나는 아파트 안에서도 헤드폰을 끼기 시작했을 때 문제가 있다는 걸 깨달았

mkpark03.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