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하게 입으려던 옷이 아직도 젖어 있다면? 여행 중 비를 맞아 젖은 옷을 빠르게 말려야 한다면? 이럴 때를 대비해 짧은 시간에 빨래를 뽀송하게 만드는 법을 알아두자.
1. 냉동실을 활용
빨래를 빠르게 말리고 싶다면, 냉동실에 잠깐 넣어보자. 젖은 옷을 비닐팩에 넣어 냉동실에 1~2시간 두면 물이 얼면서 기화되어 수분이 줄어든다. 이후 꺼내어 흔들어주면 습기가 증발하며 건조 속도가 훨씬 빨라진다. 특히 양말이나 속옷 같은 작은 빨래를 빠르게 말릴 때 유용하다.
2. 전자레인지로 속옷 & 작은 수건 급속 건조
수분이 많은 작은 빨래(양말, 속옷, 손수건 등)를 전자레인지에 30초~1분 정도 돌리면 빠르게 마른다. 젖은 옷을 키친타월로 감싼 후 돌리면 과열 방지 효과도 있다. 이때 주의할 점이 있다. 100% 면 소재만 가능하며, 금속이 포함된 옷(지퍼, 단추, 고무밴드 등)은 전자레인지에 넣으면 큰일 난다.
3. 옷걸이에 알루미늄 호일을 감아 활용하기
빨래가 마르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이유는 열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아서다. 옷걸이에 알루미늄 호일을 감아 빨래를 걸면 공기의 온도가 반사되어 건조 속도가 빨라진다. 특히 난방기구 근처에 둘 때 효과가 크다.
4. 비 오는 날, 샤워 후 욕실의 따뜻한 열기로 건조
욕실에서 뜨거운 물로 샤워한 후, 생긴 수증기와 따뜻한 공기를 활용하면 빨래가 더 빨리 마른다. 샤워 후 환풍기를 틀어주면 습기가 배출되면서 건조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 날씨가 궂은날에는 밖보다 욕실 내부가 빨래 말리기에 더 좋은 환경이 되기도 한다.
5. 차 안에 널기
햇빛이 드는 낮에는 차 안에 빨래를 걸어두면 실내 온도 상승효과로 빨래가 빠르게 마른다. 겨울에는 히터를 약하게 틀어두고 차 안에 옷을 널면 더 빨리 건조된다. 차량 내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창문을 살짝 열어두자.
6. 수건으로 물기 제거하기
빨래를 널기 전에 수건을 활용하면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깨끗한 마른 수건을 젖은 옷과 함께 돌돌 말아 꾹꾹 눌러주면 물기가 더 많이 제거된다.
7.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공기가 정체되면 빨래가 늦게 마른다. 통풍이 잘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선풍기나 환풍기를 활용해 공기를 순환시키자. 창문을 살짝 열어 자연 바람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8. 옷 사이 간격을 넓게 두기
빨래를 겹쳐서 널면 습기가 빠지지 않아 마르는 속도가 느려진다. 옷과 옷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벌려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한다. 옷걸이에 걸어서 널면 면적이 넓어져 빨리 마른다.
9. 햇볕과 바람을 활용
자연을 적극 활용하자. 햇빛이 잘 드는 공간에서 빨래를 말리면 자연적인 살균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오전 10시~오후 3시 사이 햇볕이 강한 시간대에 널어야 빨래가 더 잘 마른다.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실내에서라도 창문 가까이에 널어 공기를 적극 활용하자.
10. 옷을 두꺼운 부분부터 널기
옷은 두꺼운 부분이 마르는 데 가장 오래 걸린다. 바지나 셔츠의 허리 부분처럼 두꺼운 부분이 위로 가도록 널자. 주머니가 있는 옷은 뒤집어서 널면 건조 속도가 빨라진다.
올해는 진짜 깨끗하게 사는 7가지 방법 (feat. 진짜 새해 시작)
설 연휴까지는 그저 체험판이었으니까. 지금부터 진짜 시작! 1. 새해에 의미 두기새해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설날까지 남은 기간을 활용해 집을 정리하고, 가족과 함께 깨끗한 공간에서 명
mkpark03.tistory.com
상대가 나에게 기분 상했는지 묻는 5가지 현명한 방법
분명 화난 거 같은데. 1. “내가 뭐 잘못한 거 있어?”직접적으로 물어본다. 나 때문에 화가 났는지, 왜 화가 났는지, 내가 어떻게 하면 좋을지 가장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단, 말투마저 직접적
mkpark03.tistory.com
성공한 사람들도 싫어하는 월요병 이겨내는 6가지 방법
세계적인 리더들에게도 월요병이란 게 있을까? 있는 것 같다. 콧노래 부르면서 출근하진 못해도, 덤덤하게 일하러 나오기 위한 그들만의 전략이 있다. 1. 규칙적인 운동과 독서애플의 CEO 팀 쿡
mkpark03.tistory.com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다 남은 콜라로 할 수 있는 7가지 일 (feat. 광택 내기부터 고기 연육까지) (0) | 2025.02.24 |
---|---|
가정 내 화재 예방을 위한 10가지 기본 수칙 (feat. 365일 불조심) (2) | 2025.02.23 |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를 구분하는 9가지 효과적인 방법 (1) | 2025.02.19 |
주방 위생의 시작과 끝, 행주 관리하는 8가지 방법 (0) | 2025.01.30 |
우아하고 따뜻하게 겨울을 보내는 10가지 방법 (1) | 2025.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