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아구엘리(Ivan Agueli), 스웨덴, 화가, 1869-1917
스웨덴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난 '이반 아구엘리'는, 독특한 예술 스타일로 스웨덴 현대미술운동을 주도한 화가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탁월한 예술적 재능과 종교적 신비주의에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프랑스로 가서 '에밀 베르나르'의 제자로 미술 공부를 했으며, 프랑스 무정부주의 (아나키스트) 운동을 하다가 감옥에 가기도 했답니다. 수감 중에 이슬람 시에 반해서, 아라비안나이트도 읽었죠.
석방되자마자 그는 이집트로 가 이슬람으로 개종한 최초의 서유럽인이 되었습니다. 스웨덴 화가 '이반'은 유럽인의 시각으로 이집트 풍경을 그렸지만, 내면에는 '이슬람 신비주의 (수피즘)'의 난해한 세계관을 담았습니다.
About Him
Ivan Aguéli’s landscape paintings are focused on light. He saw depiction of the landscape as an expression of the esoteric world view of Sufism. He divided the landscape into different planes; the open sky speaks to the higher principles and what is in the foreground corresponds to the lower principles, obstructing the view of the horizon, which Aguéli spoke of as the evermore present eye. With few colours on his palette he deftly captures the light of the landscape.
From early on Aguéli was influenced by the simplification of the subject matter introduced by the Synthetists, who deducted all the unnecessary details and aimed at finding the essence. In his early paintings of Stockholm neighbourhoods he lets the gables act as surfaces for reflection.
After a ten year break from painting he starts as a non-paying student at Carl Wilhelmson’s school of art in Stockholm in 1911. Most of his life drawing sketches and nude paintings are from his time as a student at the Wilhelmson art school. It was an opportunity for him to reclaim his identity as a painter and when he returned to Egypt there was a new harmony in his small landscape paintings. During the last years of his life in Spain he found his way back to the liberated approach to painting he once had experienced on the island of Gotland. On the first of October in 1917 Aguéli was hit by a train outside of Barcelona and died instantly. The artistic Prince Eugen of Sweden secured the return of Aguéli’s paintings back to Sweden and in 1920 there was a large retrospective of his work that made him known to a Swedish audience.
권광칠, 한국, 화가, 1954-현재
권광칠, 한국, 화가, 1954-현재연꽃과 연잎 그리고 개구리가 등장하는 전통 채색화에서 싱그러움이 느껴집니다. 일상의 한가로움 속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이름다움이 맑고 투명한 색채로 표현되
mkpark03.tistory.com
제프리 라슨(Jeffrey Larson), 미국, 화가, 1962-현재
제프리 라슨(Jeffrey Larson), 미국, 화가, 1962-현재미국의 화가 '제프리'는 특이하게 "빨래"라는 주제로 많은 작품을 남겼습니다. 햇빛 쨍~하는 야외 광선과 하얗고 넓은 시트는 빛의 효과를 극대화할
mkpark03.tistory.com
이왈종, 한국, 화가, 1945-현재
이왈종, 한국, 화가, 1945-현재명불허전(名不虛傳) 대한민국의 대표작가이자, 서귀포의 동네 할아버지 같은 이왈종 화백은, 고유의 해학적 표현으로 제주의 이국적 정취를 담아냅니다. 인간과 만
mkpark03.tistory.com
'생활 >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 베로(Jean Beraud), 프랑스, 화가, 1849-1935 (0) | 2025.06.30 |
---|---|
류재춘, 한국, 화가, 1971-현재 (1) | 2025.06.29 |
권광칠, 한국, 화가, 1954-현재 (0) | 2025.06.25 |
다리아 로쏘(Daria Rosso), 이탈리아, 일러스트레이터, 1994-현재 (0) | 2025.06.24 |
알렉스 카츠(Alex Katz), 미국, 예술가, 1927-현재 (7) | 2025.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