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

갓생 살 때 착각하면 안 되는 5가지 (feat. 현실적인 접근) 이런 갓생은 걍생만 못합니다. 현실적인 접근이 필요해요. 1. 바쁘다고 갓생이 아니다일을 많이 하는 게 꼭 일을 잘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바쁘다고 갓생이 아니다. 꽉 채운 시간표는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 있다. 제대로 배우려면 복습과 연습이 필요하기 마련. 숨이 턱 끝에 차오르도록 종종걸음친 하루의 끝엔 젖은 솜처럼 피곤하다면 하루를 돌아보자. 할 일을 제대로 해냈는지,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일을 우선순위에 맞게 했는지 등. 2. 남의 기준에 맞출 필요 없다새벽 5시 미라클 모닝, 매일 운동, 북 클럽과 경제 스터디, 하루의 끝엔 셀프 스킨 케어… SNS 속 갓생을 따라 살 필요는 없다. 아침에 정신이 뿌옇게 흐려진다면 밤 시간을 이용한다. 매일 운동할 체력이 되지 않는다면 일주일에 세 번도 충분.. 2025. 3. 5.
인간의 욕구 중 가장 참기 힘든 것 (feat. 반박욕, 반박하고 싶은 욕구) 요즘에는 인간의 욕구 중 가장 참기 힘든 게 반박하고 싶은 욕구라는 말이 그냥 나온 게 아니란 걸 몸소 깨닫고 있다. 그 반박 대상은 사소한 사실 관계에서부터 자신을 향한 오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 모든 인간은 자기 자신에 대해 갖는 자아 이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신을 향한 오해를 유달리 견디기 힘들어한다. 타인의 오해는 자신의 존재를 왜곡시키는 것처럼 느껴지게 마련이다. 자신의 존재론적 이데아인 자아 이상과 현실에서 타인에 의해 왜곡된 자아 사이의 낙차가 발생했을 때 우리는 타인의 오해를 교정함으로써 자아를 자아 이상에 서둘러 병합시키려 든다. 반사적으로 튀어나오는 반박을 참기 힘든 건 그 때문이다. 하지만 이 시도는 필연적으로 실패하게 되어있다. 무슨 수를 쓰더라도 자아는 자아 이상에 합치될 수 없기.. 2024. 7.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