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3 산업계와 금융계의 경계를 넘나드는 특수 금융 (feat. VC의 투자 방식) VC가 산업계와 금융계의 경계를 넘나드는 특수 금융에서 시작해, 이제 엄연한 금융 산업의 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는 바, VC 미래에 대한 여러 전망이 나오고 있다. 투자 방식에 따라 “Traditional VC”, “Augmented VC”, “Quant VC”로 분류한 후, 투자 스테이지와 사이즈에 따라 첨부 그래프처럼 VC들을 그룹화 가능. 하여간 한국 VC도 각 하우스마다 고유한 전략과 색깔을 갖춰야 할 듯. 1. VC에서의 퀀트 투자 소개 - 설문 응답자의 10%가 퀀트 VC가 미래 스타트업 투자를 주도할 것이라고 믿음 - VC 기업 중 단 1~2%(191개 기업)만이 이 접근법에 대한 전담 내부 이니셔티브를 시작함 - 이 트렌드는 VC 업계에서 파괴적인 것으로 여겨짐 2. 스타트업 .. 2024. 8. 19. 중대재해처벌법 제대로 알기 (feat. 생산직 근로자의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생산직 근로자를 주로 사용하는 사업장은 사무직 사용 사업장과 비교할 때 유해·위험요인이 많아 사고 발생의 위험이 더 큽니다. 시스템 구축 단계별로 신경 써야 할 부분도 상대적으로 많을 수밖에 없는데요. 개별 사업장에서 어떻게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는지 알아봤습니다. 1. 생산직 사업장의 단계별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방법 1) 조직·인력 확보 상시근로자 수가 500인 이상이고,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두어야 하는 사업장별 안전보건 전문인력의 합이 3명 이상인 사업장은 안전보건 전담조직을 설치해야 합니다. 제조업에서는 이미 안전을 담당하는 안전팀을 구성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기존의 안전팀을 활용해 전담조직 구성안을 고민할 수 있습니다. 법에서는 전담조직 설치 의무만 두고 있고 기존의 안전관리자 등과 별.. 2024. 3. 11. 리더가 누구를 아느냐가 창의성을 결정 (feat. 문화 콘텐츠 산업의 위상) 우리나라 문화 콘텐츠 산업의 위상은 매우 높아졌습니다. 이제 미국 대학의 경영학 수업에서도 K-팝 가수와 K-드라마 등 K-콘텐츠를 ‘창조 산업(Creative Industry)’의 주요 예시로 드는 것이 전혀 낯설거나 어색하지 않습니다. 창조 산업 내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창의성’과 ‘대중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문화 콘텐츠 산업을 포함한 창조 산업 내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한 개인의 창의성은 물론 콘텐츠를 창조하고 전달하는 팀이나 조직의 집단적 창의성과 대중적 인지도 역시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1. 무엇을 왜 연구했나? 그렇다면 어떤 스타일의 리더가 집단의 창의성을 높일 수 있을까요? 다시 말해 어떤 사람이 창조 산업에 적합한 리더일까요? 놀랍게도 음악, 예술 등 대중을 상대로 하는 .. 2024. 1.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