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성4 굳이 남에게 말하지 않아도 되는 7가지 사적인 이야기 혹시 스스로를 납득시키기 위해 그렇게도 열심히 타인에게 같은 말을 뱉고 다닌 건 아닐까? 1. 지금 겪는 고통에 대해언제가 됐든, 어떤 일 때문이든 고통을 받았다면 그건 진짜다. 그런데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실제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과장하는 게 아니라는 것을 굳이 확인받아야 할 필요는 없다. 또 자신이 문제가 있거나 예민해서 힘든 것인지, 아니면 누구나 힘들어할 만한 일인지 확인받을 필요도 없다. 내가 힘들면 힘들고, 아프면 아픈 것이다. 2. 허황된 꿈에 대해자신의 꿈이 다른 사람의 꿈에 비해 너무 거창하거나 너무 얕을 수도 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받기 위해 억지로 없던 꿈을 만들어야 하는 건 아니다. 소위 ‘있어 보이는’ 꿈으로 치장해 남들 눈에 잘 보여봤자 의미가 없다는 말이다. 꿈.. 2025. 4. 2. 실제로 존재하는 특이한 10가지 공포증 (feat. 이성, 거울 그리고 기다림) 자기냄새 공포증, 횡단 공포증, 거울 공포증…. 극소수의 사람만 겪는다는 희귀한 공포증에 대해. 1. 이성 공포증이성공포증은 우리나라 남자들에게서 종종 발견된다. 주로 남중, 남고, 공대, 군대 코스를 거치며 이성을 접해본 경험이 거의 없는 남자들이 대표적인 예다. 이들은 여자를 만나면 말을 더듬거나 얼굴이 빨개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 방법은 단 한 가지. 여자를 자주 만나는 것이 이성 공포증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2. 거울 공포증많은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들여다보는 거울. 이와 관련된 공포증을 가진 사람들은 거울이 근처에 있으면 다른 세상의 존재들이 거울을 통해 자신을 쏘아본다고 생각한다. 거울 속에서 누군가 나를 쳐다보는 것 같고, 무엇인가 튀어나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거울을 제대.. 2025. 2. 2. 실연 후 이불킥하게 되는 7가지 순간들 그때는 처절했지만 돌이켜보면 찌질한 행동들. 1. SNS 과하게 하기헤어진 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들 중 SNS를 과하게 하는 이들은 대부분 전 연인의 관심을 유발하고 싶어서다. 그 마음도 누구나 갖고 있는 마음이다. 하지만 전 연인의 관심과 질투를 불러오기 위해 과하게 이성과 잘 지내며 티를 내거나 아무렇지 않게 잘 지낸다는 듯 일상을 SNS에 올리는 건 나중에 도리어 후회를 불러온다. 힘들어할 필요가 있을 땐 충실히 힘들어하며 보내는 것이 실연을 더 잘 극복하는 방법이다. 2. 잘못 보낸 척 카톡 보내기전 연인에게 미련이 남는 심정이야 누구나 그렇다. 전 연인이 여전히 자신을 봐주었으면, 자신에게 관심이 있었으면 하는 마음도 안다. 하지만 거기까지다. 그 이상으로 나아가서 자신의 모습을 전 연인의 앞.. 2025. 1. 10. 20세기 철학의 최대 화두, 이성에서 언어로 (feat. 언어론적 전환) 20세기 철학의 최대 화두의 하나는 언어다. 그런데 그것은 철학사적으로 육체[몸]의 발견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육체의 발견이 있었다는 것은 철학함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을 암시한다. 인간에게서 본질적인 것이라 여겨졌던 모든 것이 다 육체 안에서 육체가 주도해서 벌이는 활동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관점이 자리를 잡는다. 무시간적, 초역사적 절대 주체가 있어서 역사와 시간을 초월하여 모든 인간에게 두루 통하는 진리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내던져진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이 시간의 흔적이 담긴 진리의 형태를 자신들의 유한한 표현수단으로 자기 것으로 만들며 전해줄 뿐이다. 근대의 인식론적 사유 틀에서는 초월론적 [선험적] 주체 또는 자아가 핵심개념의 자리에 있었다. 여기에서 “초월론적”은 “대상을 구성하는.. 2024. 8.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