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능2

굳이 남에게 말하지 않아도 되는 7가지 사적인 이야기 혹시 스스로를 납득시키기 위해 그렇게도 열심히 타인에게 같은 말을 뱉고 다닌 건 아닐까? 1. 지금 겪는 고통에 대해언제가 됐든, 어떤 일 때문이든 고통을 받았다면 그건 진짜다. 그런데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실제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과장하는 게 아니라는 것을 굳이 확인받아야 할 필요는 없다. 또 자신이 문제가 있거나 예민해서 힘든 것인지, 아니면 누구나 힘들어할 만한 일인지 확인받을 필요도 없다. 내가 힘들면 힘들고, 아프면 아픈 것이다. 2. 허황된 꿈에 대해자신의 꿈이 다른 사람의 꿈에 비해 너무 거창하거나 너무 얕을 수도 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받기 위해 억지로 없던 꿈을 만들어야 하는 건 아니다. 소위 ‘있어 보이는’ 꿈으로 치장해 남들 눈에 잘 보여봤자 의미가 없다는 말이다. 꿈.. 2025. 4. 2.
지식 나눔이 문화가 되는 이유 (feat. AMA, Ask Me Anything) 지식은 비쌉니다. 전문직이거나 기업의 임원이면 1시간 면담이나 강연에 수백만 원을 받습니다. 전문가의 적절한 조언은 사업과 인생의 향방을 바꿀 수 있습니다. 강연 플랫폼이 잇따라 생겨나고 흥행하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AMA. 실리콘밸리에서 생겨난 다소 생경한 용어입니다. Ask Me Anything의 약자입니다. 실리콘밸리에서 성공을 경험한, 즉 수십, 수백 억을 번 사람들이 어느 날 온라인 플랫폼에 등장합니다. 간단한 자기소개와 함께 한마디 툭 던집니다. “AMA” 그의 성공을 동경하는 사람들이 질문을 올리면, 길고도 상세한 답변을 해 줍니다. 팔았으면 수백만 원 이상의 값어치를 할 텐데, 그냥 무료로 풉니다. AMA는 ‘쿨한 지식인’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미국을 넘어 한국에서도 지식인들.. 2024.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