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siness/Self Development

포브스 선정 직장인 질문 1위, MBA 가면 어때요? (feat. 커리어의 중요성)

by MINGFORMATION 2024. 6. 5.
반응형

포브스 선정 직장인 질문 1위, MBA 가면 어때요? (feat. 커리어의 중요성)
포브스 선정 직장인 질문 1위, MBA 가면 어때요? (feat. 커리어의 중요성)

 

원래 재테크도 99%는 돈을 잃지만, 내 귀에는 대박 난 사람 얘기만 들어오죠. 1%만 해도 수로는 몇백은 되니. “야, 내 친구들 다 이렇게 해서 대박 났대” 그렇게 재테크에 뛰어들고 99% 중 1인이 되는 흔한 비극.

 

커리어도 마찬가지입니다. 고속승진자는 전체의 1%도 안 되겠지만, 왜 맨날 그런 사람들 얘기만 들려오는지요. 태평이네 아빠는 30대 초반에 부장 달고 연봉이 억이 넘었다네, 대학동창 A는 이번에 임원 승진을 했다네… 뭐가 비결일까. 그 사람들의 이력을 살펴보면 눈에 띄는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MBA(경영전문대학원).

 

글로벌 엘리트들과의 네트워크, 지겨운 영업 현장을 떠나 폼나는 전략 업무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회장님께 직보 하는 그룹의 핵심 중역 … 대략 이런 꿈을 꾸며 늦은 나이에 다시 콩나물시루 같은 G-MAT 학원에 몸을 구겨 넣거나, 퇴근 후 인강을 들으면서 꾸벅꾸벅 졸게 됩니다.

 

MBA는 내 커리어 점프를 위한 마법의 요술봉 같은 것일까요? 다녀오면 뭐 도움이 될까요?

 

1. 일단 ‘Why’가 명확해야

MBA에도 종류가 많습니다. 일단 국내/해외로 나뉘고요. Top급과 그렇지 않은 급으로 나뉩니다. 주말에만 할 수 있는 MBA도 있고요. 금융, 테크 쪽에 특화된 MBA들도 있습니다. 이력서에 뭐라도 한 줄 추가해야지 하는 마음으로는 선택이 힘듭니다.

 

일단 내 커리어 지향점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단순 이직인지, 이 회사에서의 더 빠른 성장인지, 아예 직무를 바꿀 것인지, 혹은 그저 인맥을 넓히는 것인지 등등. 목적이 명확해야 갈 방향이 생깁니다.

 

“아, 모르겠고 지금보단 잘 나가고 싶어”라는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좋습니다. 그렇다면 정말 좋은 MBA를 가야 합니다. 그럴 준비가 되었는지는 한번 생각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많은 분들이 G-MAT 학원에서 영어와 수학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1년을 버린 뒤에 다시 취업사이트에 이력서를 올립니다.

 

2. MBA는 결과가 아니라 과정

목적이 분명해졌다면, 그 목적에 맞는 MBA를 가면 되는 걸까요? 그러면 내가 원하는 (승진이든, 직무 전환이든) 목표를 이룰 수 있을까요? 그럴 리가요.

 

세상에는 – 심지어 글로벌 Top 10 MBA라고 하더라도 – 다녀와서 잘된 케이스와 안된 케이스가 각각 수 없이 있습니다. 누군가는 전략 업무를 할 때 MBA에서 배운 게 도움이 된다고 하고, 누군가는 현장에서 익힌 노하우를 절대 따라갈 수 없다고 합니다. 누군가는 인맥 형성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하고, 누군가는 하나도 도움이 안 되었다고 합니다.

 

큰 투자가 들어가는 일이다 보니 다양한 사례를 들어보는 건 필요합니다. 나에게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그릴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남의 대답에 자신의 결정을 의지해서는 안됩니다. 일단 가는 것도 어렵지만, 가서도 자신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것이 천차만별입니다.

 

반응형

3. 언제 가는 게 가장 좋을까

MBA에 대해 커뮤니티에 많이 올라오는 질문 유형 중 하나가 ‘나이’입니다. MBA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고, 가서 열심히 할 생각이 있어도 나이가 고민인 경우죠. 다들 20대라던데, 외국 MBA가면 20대 애들이 영어로 토론하면서 막 쏘아붙인다던데. 30대 중반인 내가 가도 될까… 애들은 어쩌지, 남은 대출은 어쩌지 등등… 종종 “니들은 젊으니까 걱정 없이 가지, 나는 이미 늦었어”하며 포기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네, 마찬가지로 답 없는 문제입니다. “외국 MBA 가서 어린애들이 하도 몰아붙여서 2년 내내 자존심 상하고 힘들었는데, 졸업할 때 물어보니 걔네들은 내 나이를 몰랐다더라” 하는 웃픈 후일담도 종종 들립니다. 나이가 들면 좀 리스크가 커지긴 하겠지만, 역시나 그것으로 얻을 것이 더 크다면 주저할 게 뭐 있겠습니까. 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다면, 그걸 하기에 오늘이 내 인생에서 가장 젊은 날이겠죠. 비단 MBA만의 얘기는 아니겠지만요.


 

 

애사심 갖고 일하는 사람이 바보 (feat. 고리타분한 단어가 된 이유)

예전에, 아니 아주 예전도 아닙니다. 불과 십수 년 전까지만 해도 대기업 공채로 입사하면 커다란 운동장에 신입사원 수천 명을 모아놓고 애사심 고취 행사를 했습니다. 직원들은 우르르 움직이

mkpark03.tistory.com

 

 

제대로 직장 생활 하는 마인드 (feat. 단순 부품이 아닌 핵심 인재로)

우리는 모두 일을 싫어합니다. 어떻게든 조금 일하고 빨리 퇴근하려 합니다. 회사에서는 “부품이 뭐, 시키는 대로 하는 거지” 식의 자조적인 말만 나오기도 합니다. 퇴근 후의 삶을 그리는 ‘

mkpark03.tistory.com

 

 

즐거운 하루를 만드는 10가지 교훈 (feat. 원빈 스님, 같은 하루 다른 행복)

01.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사람과 교제하라. 가까이 지내는 사람의 기분과 행동은 자신의 기분과 행동에 전염성이 있다.02. 지나친 죄의식을 갖지 말라. 다른 사람의 기분파 감정이 모두 당신 책임

mkpark03.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