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완벽4

이것만 기억해, 일 잘하는 사람이 절대 하지 않는 7가지 행동 연신 “넵!”을 외치며 정신없이 회의실을 돌아다니는, 메신저와 메일은 알림과 동시에 읽으며, 스케줄러가 빼곡한 사람. 열심히 일하고 착각할 수 있지만 일을 잘하고 있지는 않다. 일을 잘하려면 아래 일곱 가지 행동을 피하자. 1. 완벽하게 끝내기예술가는 완벽할 때 붓을 내려놓는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는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이다.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 프리스턴 대학교에서 ‘기업가정신’을 가르치며 책 를 쓴 팀 페리스는 절대, 절대로 완벽하게 일하려고 하지 말라고 한다. 성공한 사람의 90% 센트는 완벽보다는 실용과 효율을 중시한다. 그는 ‘완벽함은 생산성의 적’이라고 강조하며 ‘제발 불필요한 세부사항에 집착하지 말라’고 한다. 2. 생각하지 않고 대답하기“엄청나게 성공한 사람들은 적당히 성공한 사람보다 훨.. 2025. 1. 15.
자신감 떨어졌을 때 절대 하면 안되는 7가지 행동 사람이 허리를 쫙 펴고 입꼬리를 쫙 올리면 세상에 못할 일이 없다. 1. 자아 비판하기자신감이 떨어졌을 때, 스스로를 지나치게 비난하거나 잘못한 점을 계속 찾아내면 안 된다. 스스로의 가치관을 부정하고 자아를 비난하는 자기세뇌에 굴레에 빠져들 위험이 크다. 비판 대신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로 사고를 전환하자. 2. 완벽에 집착하기자신감이 낮아지면 작은 실수에도 예민해지고,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해내야 한다는 압박을 느낄 수 있다. 이런 압박은 실수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극대화해 주변과 스스로를 힘들게 할 가능성이 크다. 자신감이 떨어진 상태임을 인식하고, 완벽하게 하는 것보다 한 발짝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자. 3. 비교하기자신감이 떨어졌을 때는 잠시 소셜 미디어를 끊어보자. 타인의 성취와 자.. 2024. 12. 9.
조직이 불공정할 수밖에 없는 이유 (feat. 모두에게 공정하기란 불가능) 1. 모두에게 공정하기란 불가능하다몇 해전 한 대기업의 임원들과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신임 임원 한 분이 “저는 공정한 리더가 되고자 합니다”라며 야심 찬 포부를 밝히셨습니다. 이어진 제 답변 때문에 그분께서 잠시 머쓱해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제 답변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모든 사람이 공정하다고 느끼는 리더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사람마다 공정성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죠. 대다수 사람들에게 공정한 리더가 되시고자 한다면, ‘공정성의 사각지대’에 계신 분들(공정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구성원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리더가 되시는 게 어떨까요?” 그리고 공정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시니 혹시 하버드 대학교의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 교수의 책 를 읽으셨는지 여쭈어 봤습니다. 예상대로 그 책.. 2024. 4. 25.
완벽한 의사결정이 존재할 수 없는 이유 (feat. 합리적 의사경정 모델) 1. 각자의 의사결정 지름길, 휴리스틱 의사결정을 어떻게 하시나요? 예전에 경제학자들은 사람들이 의사결정을 내릴 때 ‘합리적 의사결정 모델’에 근거한다고 했습니다. 가능한 모든 정보를 수집해 가능한 대안을 분석 및 평가하여 최선의 의사결정을 내린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오늘날 이 모델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입니다. 대부분의 의사결정 상황의 복잡도와 불확실성이 너무 높기 때문입니다. 모두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개개인이 나름대로의 ‘의사결정 지름길’을 찾아 하루하루를 살아갈 뿐이죠. 각자가 의사결정의 지름길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것. 이를 휴리스틱(Heuristic)이라고 합니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최초의 심리학자인 트버스키(Tversky)와 카네만(Kahneman).. 2024. 4.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