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인공지능11

AI 시대, 10년 후에도 유효한 커리어 쌓는 6가지 방법 나는 대체되지 않을 수 있을까? 나로서 제대로 일하며 살아가려면 이렇게 하면 된다. 1. 경쟁하지 말고, AI를 활용한다AI 자동화가 가능한 업무를 직접 하려고 하지 않는다. AI가 할 수 있는 일을 내가 더 빠르게 할 방법은 없다. 더 효율적으로 잘하려고 하지 말고 일찌감치 손을 뗀다. 디자이너라면 AI 도구와 협업하고 마케터라면 AI를 기반으로 광고 최적화 작업이나 데이터 분석에 활용한다. AI 툴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이를 다양하게 써 본다. AI 활용 능력이 곧 경쟁력이 된다. AI를 직접 다루는 직업 등이 앞으로 더욱 각광받을 예정이다. 2. 사람 중심 직무에 집중한다고도로 발달한 요즘 AI는 못하는 게 없다. 인간의 영역이라 생각했던 감정까지 능숙하게 다룬다. 조언과 위로를 잘 해내는 것은.. 2025. 3. 24.
Chat GPT를 활용해 기획안 작성하는 방법 (feat. 직장인부터 사업가까지) 직장인도 학생도 사업가도 우리는 모두 오픈 AI를 효과적으로 써야 살아남을 수 있다. 시간 낭비하지 않고 고수처럼 챗GPT를 사용해 기획안 작성하는 법을 알려준다. 진짜 10분이면 된다. 1. 질문을 구체적으로광범위하게 물어보면 답변도 애매모호할 수밖에 없다. 모든 걸 알고 있는 AI도 뭘 알려줘야 할지 맞힐 수는 없다. “요즘 유행하는 게 뭐야?”라고 말하기보다는 “Z세대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SNS에서 유행하는 챌린지가 뭐야?”라고 자세히 묻는 게 효과적이다. 최대한 질문을 작은 단위로 쪼개보자. 2. 기본 구조 요청기획안 템플릿을 요청해서 틀을 잡는다. “신제품 홍보를 위한 기획안의 기본 구조를 만들어줘.” 개요부터 시장분석, 마케팅 전략과 기대 효과까지 챗 GPT가 빠르게 읊을 것이다. 이때 5페이.. 2025. 3. 2.
업무 효율 200% 상승하는 일잘러 7가지 툴 추천 (feat. 보너스 3개 더!!) 1. 무료 저작권 이미지로는 아쉬울 때, 이디오그램이디오그램은 AI(인공지능) 기술로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서비스입니다. PPT로 제안서, 발표 자료를 만들거나 여러 콘텐츠를 만들 때, 내용의 이해를 돕는 이미지가 필요한 순간이 참 많죠. 픽사베이, 언스플래쉬 등 무료 저작권 이미지 사이트 사이에서 마음에 쏙 드는 이미지를 찾지 못했을 때, 이디오그램을 활용해서 뚝딱 직접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AI 기반 이미지 생성 서비스는 'Midjourney(미드저니)'가 유명하지만, '영어 프롬프트'를 사용해서 요청해야 하고, 사용법이 어려워 생각보다 손이 잘 안 가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이디오그램 역시 영어 명령문으로 이미지 작업을 요청해야 하지만 비교적 다루기 쉽고, 결과물의 퀄리티도 높아서 만족하며 사용.. 2024. 11. 14.
전통적 노벨상의 시대의 끝 (feat. 인공지능과 딥마인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알파폴드와 로제타폴드를 개발한 하싸비스, 점퍼, 데이비드 베이커가 노벨 화학상을 받았습니다. 얼마 전부터 "노벨상의 시대는 저물고 있는 것 같다. 지금 과학의 혁신을 이루는데 인공지능의 공이 제일 큰데 알파폴드와 로제타폴드에 줄 거냐, 이들이 사람이 아닌데.. 그럼 그 개발자를 줄 거냐. 애매하다. 인공지능을 개발한 사람이 원조인데"라고 떠들었는데, 노벨상 위원회는 딥러닝을 개발한 인공지능 아버지들에게 물리학상을 (수학상을 줄 수 없으니) 줘서 길을 터 주고 화학상에 알파폴드와 로제타폴드 개발자들을 줄 명분을 만들었다는 느낌입니다. 물론 예상하시듯이 이들이 혼자 하지 않았죠. 엄청난 팀이 뒤에 있었어요. 우리 바이오인공지능 연구단의 백민경 교수님도 로제타폴드의 공동 제1저.. 2024. 10. 19.
넥서스, 유발 하라리의 신작 (feat. 이스라엘 역사학자, 사피엔스) 이스라엘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는 2011년 '사피엔스'를 출간하면서 일약 스타덤에 오르게 된다. 이후 '호모 데우스' 등에 이어, 이달 들어서는 'NEXUS: A Brief History of Information Networks from the Stone Age to AI'를 펴내며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 신작 넥서스는 초미의 관심주제인 '인공지능'을 다룬다. 이 책에 대해 Northwestern 대학의 Daniel Immerwhar는 최근 9월 6일 서평을 통해 하라리가 AI를 인류 종말론적 현상으로 묘사하는 것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즉 AI는, 지금 여기에서 펼쳐지고 있는 사안이기도 하며 사회적인 개입을 통해서 그 궤적을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한데 하라리는 지나치게 숙명론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어 정.. 2024. 9. 23.
과학의 맹점, 과학은 왜 인간 경험을 간과해선 안 되는가? 우리는 과학이 실재/실체/현실에 관한 신의 관점(God's eye view of reality)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는 그런 경향의 위험을 자각하지 못하고 인간적 경험의 정당한 지위는 무시하곤 합니다. 이에 대해 천체 물리학자 애덤 프랭크, 이론물리학자 마르셀로 글레이서, 철학자 에반 톰슨은 과학의 맹점에서 혁명적인 과학적 세계관을 요청합니다. 과학이 인류의 살아온 경험을 우리의 객관적 진리 탐구의 불가피한 부분으로 포함하는 그런 과학적 세계관 말입니다. 상기 공저자는 과학을 절대적 실재/실체/현실에 대한 발견으로서가 아니라 인간적 경험에 대한 고도로 세련된 (설명) 형태이자 끊임없이 진화하는 형태로서 제시합니다. 이들 공저자는 지구 행성의 기후 위기와 점증하는 과학.. 2024. 9. 17.
데이터 활용으로 핵심인재 이탈 방지하기 (feat. HR 애널리틱스 활용 정도)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통해 현재 기업의 HR 애널리틱스 활용 정도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연간 직원의 이직률은 어느 정도입니까?” “후회 손실로 직원의 이직률은 얼마입니까?” “1년 이내에 회사를 떠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직원을 알고 있습니까?” 위 질문에서 1번 질문에 답할 수 있다면 기업은 HR 관련 데이터를 DB를 통해 관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DB를 통해 관리한다는 것은 HR 관련 데이터가 전산 시스템을 통해서 취합 및 관리되고 있는 것이며, HR 데이터가 적재되어 갈 수 있는 여건이 확보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2번 질문에 답할 수 있다면 기업은 DB화 된 HR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정 사건과 이 사건 이후 이직 여부에 대한 상관관계 등을 통계.. 2024. 3. 28.
회사 운영의 중요한 인적자원(Human Resources) 회사 운영에서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인적자원(Human Resources)입니다. 최근 HR업계에는 여러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치열한 디지털 인재 경쟁, 노동관계법 강화, 코로나 이후 달라진 조직문화가 대표적인데요. 그만큼 인사담당자들은 더 높은 수준의 직무수행 역량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고생 많이 하고 있다는 거죠. 인사담당자로서 소명의식이 있더라도 가끔은 지치고, 번아웃이 올 때도 있을 텐데요. 우리가 기분 좋게 일하면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HR 업무와 사람의 속성을 이해하며 일하는 것입니다. 1. 전문성을 바탕으로 조직적합도 판단 인사담당자가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키워드는 ‘핏’입니다. 아무리 좋은 제도도 우리 조직에 맞지 않으면 성과로 .. 2024. 3. 2.
인공지능(AI) 사람을 채용하는 시대 (feat. HR, 변화의 시작) 국내 ‘HR+AI 테크’의 선두주자, 제네시스랩이 ‘AI to HR, 변화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기업 인사담당자 대상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제네시스랩은 AI 영상면접 솔루션 기업인데요. 이날 행사에서는 AI를 활용한 HR 혁신 사례를 공유해 관심을 모았습니다. 지금으로부터 66년 전인 1956년, 미국의 컴퓨터⋅인지 과학자 존 매카시는 AI를 ‘지적인 기계이자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술’로 정의했습니다. 그 후 AI는 총 3차례의 붐과 정체기를 거쳐 지금의 이르렀습니다. 3차 AI붐 화두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입니다.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해 AI의 성능을 향상하고 인간의 뉴런과 비슷한 인공신경망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겁니다. 데이터 분석은 물론 로봇, 자율주행차, 창작 영역까지 AI의 활용 범위가 확.. 2024. 2.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