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siness/Law

나도 모르게 판결이 나온 경우의 대처 방법 (feat. 추완항소)

by MINGFORMATION 2024. 5. 24.
반응형

나도 모르게 판결이 나온 경우의 대처 방법 (feat. 추완항소)
나도 모르게 판결이 나온 경우의 대처 방법 (feat. 추완항소)

 

1. 나도 모르게 판결이 나왔다?

자신이 당사자인 판결이 자기도 모르는 새 선고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해외에 장기간 나가있다가 귀국하거나, 주소지로 등록한 곳과 다른 데서 장기간 살다가 나중에 주소지로 와 있는 우편물을 보고 나서 이런 사실을 알게 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당사자도 모르게 판결이 나오는 건 어떻게 가능한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공시송달’이라는 제도 때문입니다. 원칙적으로 법원은 소송이 개시되면 소장·판결문 등 소송 서류를 당사자에게 직접 전달해야 합니다. 그러나 공시송달, 즉 대법원 인터넷 홈페이지에 송달 사실을 공시하는 방법으로 상대방에게 소송 서류가 도달된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가 B에게 1억 원을 달라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런데 법원에서 B에게 소장·재판기일통지·판결문 등 소송 서류를 송달하려고 수차례 시도했음에도 B가 집에 없어서 계속 송달이 안 됐습니다. 그럼 법원은 B가 소송 서류를 받아보지 못했더라도 공시송달을 통해 B에게 서류가 도달된 것으로 간주하고 재판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공시송달로 판결문 받았으면 항소도 못하나?: 원칙적으로 판결문이 당사자에게 도달된 날부터 2주가 지나면 당사자는 항소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판결문이 공시송달되고, 당사자가 그 공시송달을 ‘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몰랐던 경우라면, 당사자는 위 기간이 지났더라도 그 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2주 안에 다시 항소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소위 ‘추후보완항소’ 또는 ‘추완항소’라고 합니다.

 

대법원은 ‘책임질 수 없는 사유’를 <소송을 회피하거나 이를 곤란하게 할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송달을 받지 아니했다거나, 소 제기 사실을 알고 주소 신고까지 해 두고서도 그 주소로 송달되는 소송 서류가 송달이 불가하도록 장기간 방치했다는 등의 사정이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고 봅니다.

 

반응형

2. 소장받아봤다면 추완항소 불가

단 추완항소는 판결문뿐 아니라 소장까지도 공시송달에 의해 이뤄진 경우에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사례에서 B에게 소장까지는 제대로 송달됐으나 그 이후의 소송 서류(재판기일통지, 판결문 등)는 B가 집에 없는 관계로 공시송달된 경우라면, B는 추완항소를 할 수 없습니다. 추완항소를 하려면 판결문의 공시송달을 ‘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몰랐어야 하는데, 대법원은 B가 소장을 직접 받아봐 소송이 제기된 사실을 일단 안 이상 판결문의 공시송달을 모른 것에 책임이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좀 더 복잡한 상황을 가정해 볼까요. 만약 B에게 소장이 공시송달되긴 했는데, 법원에서 이후 B에게 전화로 연락해 소송 개시 사실과 재판 날짜를 안내해 줬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B는 추완항소를 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은 법원으로부터 전화로 소송이 개시됐다는 사실을 안내받은 정도만으론 B가 이후에 판결이 나온 걸 모르게 된 데 책임이 없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3. 정리하면…

요컨대 판결문이 공시송달된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됐다면 추완항소를 해서 다툴 수 있지만, 반드시 안 날로부터 2주 이내에 해야 합니다. 그리고 소송 개시를 알리는 소장부터 공시송달로 받았다는 점을 증명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법적인 측면에서 사직서의 효력 (feat. 사직서를 냈는데 상사가 찢었다면)

직장 생활을 하면서 한 번쯤은 사직서를 내는 모습을 상상해 본 적이 있으실 텐데요. 그렇다면, 사직서를 냈는데 상사가 사직서를 찢어버렸을 때는 어떻게 될까요? 이럴 경우에 법적으로 사직서

mkpark03.tistory.com

 

 

사직의 의사 표시 (feat. “퇴사할게요” 홧김에 한 말, 효력 있을까?)

술자리, 회식 자리 등에서 홧김에 “회사 그만두겠다!”라고 말하는 상상, 한 번쯤 해보셨을 텐데요. 이렇게 홧김에 회사를 그만두겠다고 말한 경우엔 과연 사직의 의사 표시를 한 것으로 보아

mkpark03.tistory.com

 

 

인플루언서들의 후기인 줄 알았던 광고 (feat. 광고 내용의 기만성)

화장품 판매업자 A는 소셜 인플루언서들에게 자신이 판매하는 화장품의 소개·추천 글을 게시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게시물에 반드시 포함할 해시태그, 사진 구도 등을 제시했습니다. 인플루언

mkpark03.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