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성6 그 사람 멀리해, 악연이 될 사람 미리 알아보는 8가지 방법 올해 새로 만난 이 사람 괜찮은 사람일까? 다 지나고 후회하면 소용없다. 악연을 알아보는 직감적, 신체적, 명리학적, 세계토속신앙적 전문가들 의견을 모았다. 1. 만나면 불안하고 긴장된다몇 번이나 만났는데도 계속 불쾌감을 동반하는 불안과 긴장감이 느껴진다면 그건 ‘촉’이 보내는 신호다. 인간은 직감적으로 나와 악연인 사람을 알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정서적으로 소모되는 느낌을 받거나, 자신도 모르게 상태를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면 스스로의 직감을 믿으라고 조언한다. 거대한 불행의 예고편일 수 있다. 2. 성장을 방해하거나 뒷담을 한다야금야금 나를 갉아먹는 악연도 있다. 겉으로는 잘해주는 것 같지만 뒤에서 성장을 방해하는 사람과 함께 있지는 않은지 의심해 보자. 내게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불필요한 조언으로 .. 2025. 1. 14. 이런 거 묻지 마, 꼭 피해야 할 의외로 무례한 6가지 질문 애인 없어? 얼마 벌어? 아기 안 가져? 살쪘니? 대놓고 무례한 질문 말고 저의가 느껴지는 잔잔하게 곤란한 질문들. 1. 어느 동네에서 대학 다녔어?어떤 대학을 나왔냐고 물어보는 질문과 크게 다르지 않다. 관악은 서울대, 안암동은 고려대, 신촌은 연세대 등 동네를 들으면 대학을 얼추 알게 되기 때문이다. 학력이 궁금한 게 아니라면, 뒤에 부가 설명을 더한다. “맛집 많았어?”, “주로 뭐 하고 놀았어?”, “통학이 오래 걸렸어?” 등. 2. 저금해 놓은 돈 많아?연봉이 얼마인지, 집안이 부유한 지, 소비 패턴은 어떤지 묻는 것과 같은 흐름이 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수준의 돈을 많다고 생각하는지 경제관념에 대해 파악하려 한다고 오해를 사기도 쉽다. 돈과 관련된 얘기를 꼭 물어야 한다면 자신의 상황을 먼저.. 2025. 1. 13. 당신도 꼰대? 반드시 피해야 할 직장 내 10가지 실수들 직장은 다양한 인간관계가 얽히고설키는 공간이다. 때로는 작은 실수 하나가 관계를 악화시키거나 부정적 이미지를 심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1. 과도한 자기 자랑자랑이라는 게 참 얄궂다. 자신의 성과를 어필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과도한 자기 자랑은 얄밉다 못해 한 대 때려주고 싶다. 특히 타인의 기여를 간과하거나 자신의 공로로 돌리는 행동은 관계를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2. 무례한 의사소통무심코 던진 무례한 말 한마디는 상대방에게 깊은 상처를 줄 수 있다. 특히 직장은 서로를 존중해야 하는 공간이기에, 말투나 표현 하나에도 신중해야 한다. 공적인 자리에서 타인을 비판하거나 깎아내리는 발언은 피하자. 3. 소문 퍼뜨리기직장 내에서의 소문은 쉽게 퍼지고 커진다. 점심에 담배 피우면서 나눈 .. 2024. 11. 27. 친구의 성공이 부럽다면? 질투 없이 축하하는 7가지 방법 기쁘지만 한편으로는 뭔가 허전하고 배 아픈 감정이 든다. 부러운데 어떻게 질투가 안 날 수 있을까. 1. 성공을 동기 부여로친구의 성공을 ‘나도 이룰 수 있는 목표’로 생각하자. 심리학적으로 가까운 사람이 성공하면 나도 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성취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한다. ‘저 친구도 해냈으니 나도 할 수 있어!’라는 생각을 떠올리며 질투 대신 새로운 목표로 삼자. 친구의 성공은 좋은 자극제가 될 수 있다. 2. 친구의 성공 과정 되새기기친구의 성취는 보통 그 순간만 조명된다. 그 뒤에는 큰 노력, 험난한 과정이 있었을 거다. 그걸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시기가 감탄으로 바뀔 수 있다. 3. 진심으로 축하하기어색한 축하보다는 재치 있는 한마디로 친구의 기쁨을 함께 나누자. 예를 들어, “나도 너 성공할.. 2024. 11. 14. 인간의 욕구 중 가장 참기 힘든 것 (feat. 반박욕, 반박하고 싶은 욕구) 요즘에는 인간의 욕구 중 가장 참기 힘든 게 반박하고 싶은 욕구라는 말이 그냥 나온 게 아니란 걸 몸소 깨닫고 있다. 그 반박 대상은 사소한 사실 관계에서부터 자신을 향한 오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 모든 인간은 자기 자신에 대해 갖는 자아 이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신을 향한 오해를 유달리 견디기 힘들어한다. 타인의 오해는 자신의 존재를 왜곡시키는 것처럼 느껴지게 마련이다. 자신의 존재론적 이데아인 자아 이상과 현실에서 타인에 의해 왜곡된 자아 사이의 낙차가 발생했을 때 우리는 타인의 오해를 교정함으로써 자아를 자아 이상에 서둘러 병합시키려 든다. 반사적으로 튀어나오는 반박을 참기 힘든 건 그 때문이다. 하지만 이 시도는 필연적으로 실패하게 되어있다. 무슨 수를 쓰더라도 자아는 자아 이상에 합치될 수 없기.. 2024. 7. 12. 즐거운 하루를 만드는 10가지 교훈 (feat. 원빈 스님, 같은 하루 다른 행복) 01.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사람과 교제하라. 가까이 지내는 사람의 기분과 행동은 자신의 기분과 행동에 전염성이 있다.02. 지나친 죄의식을 갖지 말라. 다른 사람의 기분파 감정이 모두 당신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만이다.03. 자신감을 가져라. 자신의 약점보다 장점을 바라보고 자기비판보다는 자신의 성공과 행복을 스스로에게 확신시킬 수 있는 사람만이 성공한다.04. 남과 비교하지 말라. 세상엔 당신보다 잘난 사람도 있고, 못난 사람도 있게 마련이다.05. 행복 해지겠다고 결심하라. 사람은 자신이 작정한 만큼 행복해질 수 있다. 06. 자신에 대한 불행감이나 삶에 대한 허무감을 버려라.07. 완벽주의자가 되지 말라. 실수하는 것은 인간이고 용서하는 것은 신이다.08. 당신을 구속하는 것은 바로 당신의 생.. 2024. 5.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