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동료61

상사의 갑질에 소심하게 보복하는 방법 (feat. 상사를 향한 공격성의 매개효과) 지식은 조직이 오늘날의 불확실하고 복합적인 환경에 대응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자원입니다. 때문에 많은 조직이 조직 내 지식 공유를 촉진하기 위해 보상제도를 바꾸거나 사내 네트워크를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상당수의 종업원은 자신의 지식을 동료와 공유하는 데 거부감을 갖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자신의 지식을 은폐하는 행동까지 보입니다. 조직 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지식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의식적인 행위인 ‘지식 공유’와 달리 ‘지식 은폐’는 다른 사람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자신의 지식을 주지 않거나 숨기려는 행위를 뜻하는데요. 지식 은폐로 인한 포천 500 기업의 손실이 연간 약 315억 달러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조직 내 만연한, 심각한 문제라고 볼 수.. 2023. 12. 29.
58개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의 여성 인재 육성법 (feat. 조직의 다양성) 인사담당자로서 회사의 중요 포지션이나 프로젝트를 제안하면 후보자의 성별에 따라 돌아오는 답변이 종종 달라집니다. 여성 후보자는 “아직 제가 부족해서 지금은 힘들고, 조금 더 준비해서 하겠다”라며 거절의 멘트를 많이 합니다. 반면 다수의 남성 후보자들은 본인의 역량을 뛰어넘는 포지션도 매우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결과적으로 성장의 기회로 삼습니다. 물론 여성리더에 대한 편견과 리더로서의 성장 기회가 절대적으로 적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와 기업, 조직에서 조성되는 여성에 대한 편견에 더해 여성 스스로도 남성에 비해 지나치게 겸손한 성향을 가진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1. 여성 리더십의 역할과 변화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경영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 2023. 12. 26.
X세대를 위한 MZ 지침서 (feat. 사회적 관계와 소속감) 사람은 누구나 소속감을 느끼고 싶어 합니다.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한국인이라면 더 그렇죠. 그런데 요즘 MZ세대들은 소속감보다는 적당히 느슨하고 다양한 형태로 연대하는 방식의 관계 맺음을 선호합니다. 저성장 시대를 살아온 MZ세대는 조직과 자신의 성장을 결부 짓지 않는 편입니다. 오히려 직무 중심으로 전문성을 만들고, 시장에서 자기 가치를 높게 평가받는 것에 더 주안점을 둡니다. 한 회사에 적을 두지 않고, 이직과 퇴직을 반복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징이 있는 MZ세대가 자연스럽게 조직에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최근 MZ세대가 조직의 중심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조직 내 X세대들의 반응은 어떨까요? 많은 X세대는 MZ세대 구성원들이 업무 몰입감과 소속감이 낮다고 아쉬워합니다... 2023. 12. 26.
일을 미루지 않는 방법 (feat. 마감일을 정하지 마라) 호주 맥쿼리경영대학원의 마로스 세르바트카와 뉴질랜드 오타고대의 공동 연구자 스티븐 놀스, 트루디 설리번, 무라트 젠치는 자선단체에 10달러를 기부하는 대가로 3,276명의 사람들에게 짧은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일부 참가자에겐 일주일의 응답 기한을 줬습니다. 일부에게는 한 달 기한을 줬고요. 일부에겐 아예 기한을 안 줬습니다. 그런데 마지막 그룹이 앞선 두 그룹보다 응답도 더 많이 했고 회신도 빨랐습니다. 마감일은 사람들에게 일을 하게끔 동기를 부여하지만 상관관계가 늘 명확한 건 아닙니다. 이론상 마감 기한이 길면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지만 계속 미루다 결국 까맣게 잊어버릴 수도 있거든요. 실제로 기한이 한 달이었던 사람들 중 5.5%만이 설문조사에 응답한 반면 일주일이었던.. 2023. 12. 25.
직원들이 사랑하는 회사의 비결 (feat. 밀리의 서재) 2016년 설립해 국내 최대 규모 독서 플랫폼으로 성장한 ‘밀리의 서재’. 현재는 전자책, 챗북, 오디오 드라마 등 약 12만 권의 북 콘텐츠를 보유한 회사가 됐죠. 이렇게 밀리를 성장시킨 데엔 밀리만의 특별한 조직 문화가 자리한다는데, 황인준 밀리의 서재 경영지원실 HR 매니저를 만나 자세히 들어봤습니다. 1. 밀리답게’ 일한다 밀리는 구성원들에게 하나의 가치, ‘밀리다움’을 강조해 왔습니다. 밀리다움은 ▲합리적으로 ▲동료와 함께 ▲멋진 일을 추구한다는 의미를 지닌 단어로, 회사 근간을 이루는 기본 틀이자 구성원 모두가 공유하는 업무 방식입니다. 다시 말해 ‘고성과자들이 서로 협력하며, 스스로 밀리답게 일하는 것’이 밀리 조직 문화의 핵심인 셈이죠. 이를 위해 밀리는 신규 입사자들을 엄격히 선발합니다... 2023. 12. 24.
유형별 회사 빌런 대처하는 방법 총망라 (feat. 오피스 빌런 특집) 오피스 빌런. 흔히 책임을 회피하거나, 꼰대처럼 구는 얄밉고 비호감인 직원을 ‘오피스 빌런’이라 지칭하곤 하는데요.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나 억지 주장과 과도한 요구를 일삼는 직원도 오피스 빌런 중 한 유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오피스 빌런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알아봤습니다. 1. 오피스 빌런 1 직장 내 괴롭힘의 가해자 상습적인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들은 대부분 몇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1) 자신의 괴롭힘을 정당화하거나 (2) 자신이 혐오하는 사람이 고통받는 상황에 쾌감을 느끼는 유형 등이 대표적인데요. 이외에도 (3) 진심으로 헛소리하는 유형 등이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의 유형입니다. 상습적인 직장 내 괴롭힘 문제가 발생하면 대부분의 조직에서 분쟁의 장기화와 확산, 피해자들의 고통, 공정성에.. 2023. 12. 24.
일의 의미를 바꾸는 사소한 격려 (feat. 조직문화를 쇄신할 비결) 올해 초가 엊그제만 같은데, 시간이 금세 흘러 연말입니다. 회사에서의 일상 또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출근 후 그날 해야 하는 일들을 바쁘게 처리하다 보면 어느덧 퇴근 시간이죠. 누군가에게는 중요한 일을 처리하거나 성공적인 결과가 나온 뜻깊은 날일 수도 있지만, 대개는 평범한 하루였을 겁니다. 그러나 이런 평범한 하루가 켜켜이 쌓여 빠르고 정신없이 흘러가면 전반적인 조직 내 일상이 됩니다. 그리고 대개의 경우 이러한 하루들이 뻔하거나 지루한 순간들로 여겨지지만, 때에 따라서는 자신들의 조직문화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1. 구성원들이 겪는 조직 내 일상 경험 실제로 회사 내 대부분의 구성원은 다소 지루하고 반복적이지만 반드시 해야 하는 일들을 처리하며 일상의 한 부분.. 2023. 1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