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77

톰 톰슨(Tom Thomson), 캐나다, 예술가, 1877-1917 톰 톰슨(Tom Thomson), 캐나다, 예술가, 1877-1917 캐나다 온타리오의 시골 출신인 '토마스 톰슨'은 처음부터 그림을 그리지는 않았습니다. 글자 서체를 개발하고 동판의 레터링을 다루는 도안사였습니다. 인쇄소에서 도안 일을 하다가 여러 화가들을 만나게 되었고, 그들과 함께 알곤킨(Algonquin) 공원을 처음으로 방문했죠. 목적은 낚시와 카누였지만, 그곳에서 미술장비를 사서 친구들 조언에 따라 풍경을 그리기 시작했답니다. 이때가 30대 중반이었죠. 점점 더 캐나다의 대자연에 매료되어, 5년간 끊임없이 알곤킨공원의 풍경을 굵은 선으로 그렸답니다. 불행히도 카누 사고로 일찍 세상을 떠났지만, 소나무의 강인한 정신을 묘사한 걸작 "서풍 West Wind"과 캐나다의 상징인 단풍 그림 등을 남겼.. 2023. 12. 10.
오토 딕스(Otto Dix), 독일, 화가, 1891-1969 오토 딕스(Otto Dix), 독일, 화가, 1891-1969 "세상에는 설명이 불필요한 것들이 존재한다. 나는 철학자가 아니다. 나에겐 말보다 행위가 더 중요하다. 나는 현실에 실재하는 것들과 진실을 위해 말할 것들을 그림으로 보여 준다." 전장에서 겪은 참상과 전쟁으로 야기된 도시의 비극을 잔인하리만치 생생하게 묘사한 20세기 초 독일 신즉물주의(Neue Sachlichkeit) 화가다. 그는 반표현주의 운동의 대표였지만 표현주의를 포함한 그의 회화와 에칭에 수많은 스타일을 포함시켰다. 그의 작품은 다다이즘, 입체주의, 미래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 모든 것은 그의 풍자적이고, 야만적인 스타일을 형성했다. 그는 현실주의자였기에 그림 안에 있는 메시지를 전가하거나 전달하기 전에 모든 것을 직접 경험해.. 2023. 12. 10.
신명연, 조선 말기, 화가, 1808-1886 신명연, 조선 말기, 화가, 1808-1886 조선 말기의 화가 '애춘 신명연' (靄春 申命衍)은 17세에 알성무과에 급제한 뒤 군사와 관련한 무관의 관직을 지냈지만, 시·서·화에 재능이 뛰어났습니다. 부친에게서 글과 그림을 배웠고, 청나라 화풍을 공부하여 19세기 조선의 화단에 참신한 미감을 가져왔습니다. 그가 많이 그린 화조화(花鳥畫)는 사실적이며 섬세하고, 화사한 색감이 두드러집니다. 평생 관직에 있으면서 놓지 않은 그의 붓 끝에서 연꽃, 난초, 국화, 백합, 수국, 양귀비, 옥잠화, 금낭화 등이 피어납니다. 아버지 신위가 소장하였던 중국 회화를 접했으며, 특히 신위가 직접 북경을 왕래하며 교류한 중국 화가들의 작품을 통해 청대(淸代) 화풍을 수용하였다. 화조화(花鳥畵), 화훼화(花卉畵), 산수화,.. 2023. 12. 10.
유리 고르바초프(Yuri Gorbachev), 러시아, 화가, 조각가, 1948-현재 유리 고르바초프(Yuri Gorbachev), 러시아, 화가, 조각가, 1948-현재 유리 고르바초프 (Yuri Gorbachev, 1948년, 소련 출생 )는 러시아의 화가이자 조각가입니다. 1991년부터 미국에 살면서 뉴욕에 있는 맨해튼 스튜디오에서 작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는 '러시아의 루소'로 불립니다. 지난 40년 동안 고르바초프의 경력은 국제 예술의 최고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유리 고르바초프(Yuri Gorbachev)는 비철 금속(금, 청동), 특수 바니시 및 에나멜을 사용하여 팔레트에서 검은색을 완전히 제거하여 캔버스에 페인팅하는 자신만의 독특한 기법을 만들었습니다. About Him In 2011, Yuri Gorbachev designed a new label for Stolichna.. 2023. 12. 10.
토마스산체스(Tomás Sánchez), 쿠바, 화가, 1948-현재 토마스산체스(Tomás Sánchez), 쿠바, 화가, 1948-현재 쿠바 출신 화가 Tomás Sánchez의 작품들 소개합니다. 그는 1948년 5월 22일 쿠바의 Aguada de Pasajeros에서 태어났으며, 1964년부터 1971년까지 산 알레한드로 국립 미술 학교와 국립 미술 학교에서 공부했습니다. 산체스는 빠르게 국제 미술계에서 두각을 나타내 젊을 때부터 세계적인 여러 상들을 수상하였습니다. 그림만 그리는 것이 아니라 조각과 사진까지 작품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작가는 주로 숲을 그리는데요,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려서 그런지 작품비도 비싸다고 하네요. 한 작품당 20~30만 불 정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재밌는 것은 자세히 보면 작게 사람 한 명을 그려 넣은 작품이 많습니다... 2023. 12. 10.
안드레 부처(André Butzer), 독일, 화가, 1973-현재 안드레 부처(André Butzer), 독일, 화가, 1973-현재 독일의 작가 안드레 부처의 국내 첫 개인전이 진행 중이다. 그는 1990년대부터 독일의 표현주의와 미국 대중문화의 융합을 통해 삶과 죽음, 산업화와 대량 소비 등 20세기의 예술, 정치 및 사회적 극단의 초월을 시도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회화 언어를 구축해 왔다. 또한 월트 디즈니와 헨리 포드 그리고 폴 세잔, 에드바르 뭉크, 앙리 마티스 등의 영향을 받아 독특하면서도 정교한 본인만의 세계관을 정립하였다. 그렇게 그는 독일의 전통적 표현주의의 미래적 후예로 자신만의 회화 양식론 ‘공상과학 표현주의(Science-Fiction Expressionism)’를 구축한다. 또한 그는 나사하임(NASAHEIM)이라는 가상의 유토피아적 영역을 창조해.. 2023. 12. 10.
메리 블레어(Mary Blair), 미국, 일러스트레이터, 1911-1978 메리 블레어(Mary Blair), 미국, 일러스트레이터, 1911-1978 미국의 '메리 블레어'는 대학 졸업 후 수채화를 그리면서 화가로 인정받기 시작했습니다. 서른 살 무렵 월트 디즈니에 입사했죠. '콘셉트 아티스트'인 그녀는 영화의 전반적인 이미지와 캐릭터, 그리고 주된 색상을 결정했답니다. '아기코끼리 담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신데렐라' 등 디즈니 많은 작품의 메인 이미지가 그녀의 붓에서 창작되었답니다. 글로 쓰인 동화를 이야기가 담긴 그림으로 표현하여 현대적인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그녀의 상상력과 뛰어난 색감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남미를 여행하면서 모아 온, 화려하고 대담한 색상들을 디즈니 영화에 담아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녀는 어린이 동화책의 삽화에서부터 .. 2023. 12. 10.
매튜 웡(Matthew Wong), 캐나다, 예술가, 1984-2019 매튜 웡(Matthew Wong), 캐나다, 예술가, 1984-2019 "현대 사회에는 너무나 많은 외로움과 노스탤지어가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제 작품들은 그것들에 관하여 이야기하고 있으며, 조금 더 넓은 의미에서는 제 생각과 열정 그리고 충동들을 담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010년에 그는 홍콩 시립대학의 크리에이티브 미디어 학과에 입학했고, 2013년에 사진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러나 그즈음 그는 사진에 환멸을 느끼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는 2015년 홍콩 시각 예술 센터에서 작은 개인전을 열면서 화가로서 첫 번째 돌파구를 마련했고, 작품은 온라인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사람이 살지 않는 풍경화와 정물화로 유명한 그는 6년의 짧은 예술 경력 동안 큰 호평을 받았다. 20.. 2023. 12. 9.
랜선 멘토링, 요즘 MZ가 가장 선호하는 멘토링 (feat. 시대의 흐름과 변화) “미래 조직에서 가장 강력한 인재 육성 툴은 멘토링이다.” 세계적인 경영학자인 피터 드러커는 일찍이 멘토링의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이후 그의 주장대로 멘토링은 많은 기업이 활용하는 교육 방식으로 자리매김했죠. 국내 기업들 역시 200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멘토링 제도를 받아들이기 시작했습니다. 초기 신입사원의 적응을 돕는 차원에서 진행되던 멘토링 프로그램은 발전을 거듭해 최근에는 리버스 멘토링, 1대1 멘토링, 직무 역량 멘토링, 기술 멘토링 등 다양한 방식이 개발돼 운영 중입니다. 기업이 멘토링 제도를 선호하는 이유는 일단 비용이 크게 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조직 내부에 전문성이 있는 시니어와 신입사원을 매칭해 주고 모니터링만 하면 되기 때문에 큰 노력 없이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죠. 또한 .. 2023.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