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siness/Self Development

모두들 하고 있다는 사이드 프로젝트 (feat. 숨겨왔던 재능이나 흥미)

by MINGFORMATION 2024. 6. 7.
반응형

모두들 하고 있다는 사이드 프로젝트 (feat. 숨겨왔던 재능이나 흥미)
모두들 하고 있다는 사이드 프로젝트 (feat. 숨겨왔던 재능이나 흥미)

 

다들 어디다 그런 끼를 숨겨두고 살았는지. 회사 옆자리 A는 몇 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입니다. 옆 팀 B는 주말마다 개발자들을 모아 토이 프로젝트를 한다죠. 친구 C는 퇴근하고 바텐더 수업을 들으러 간다네요.

 

사이드 프로젝트. 몇 년 사이 익숙해진 단어입니다. 말 그대로 본업이 아닌 다른 일을 하는 거죠. 숨겨왔던 재능이나 흥미를 살려하고 싶었던 일을 합니다. 추가 수입을 얻는 경우도 있습니다. 직장인 중 열의 아홉은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고 있거나 할 계획이라는 기사도 있네요.

 

이 광경을 보고 있자니 위기감이 듭니다. 내 이력서에는 회사 이름뿐이거든요. 이러다 뒤처져 버리는 거 아닐까요.

 

1. 사이드 프로젝트는 도움이 될 수 있다

누가 시키는 일이 아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건 여러 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내 마음대로 뭔가를 만들어내는 행위는 인간의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킵니다. 성취감을 주고 삶에 생기를 불어넣어 주죠.

 

본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키면 그만큼 개인의 개성이 강화됩니다. 예전에는 본업에 집중해 전문성을 키우는 게 우선시됐지만 지금은 자신만의 개성을 바탕으로 창의성을 갖춘 사람이 경쟁력을 얻는 시대입니다. 회사 일만 하는 개발자보다 업무 외 시간에 다른 서비스를 만들어낸 경험을 해본 개발자의 시각이 더 신선할 확률이 높죠. 갈수록 신선한 솔루션이 답이 되는 경우가 많고요.

 

2. 단, 목적이 명확하고 합당한 경우에만

직장인들 사이에서 “사이드 프로젝트 하세요?”라는 말이 유행어가 된 것 같습니다. 아마 커뮤니티에 오늘의 고민 글을 올린 분도 너도나도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분위기 때문에 위기감을 느끼셨을 겁니다. 유행처럼 번지다 보니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게 아닌 사이드 프로젝트 자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모든 일이 그렇듯, 사이드 프로젝트 또한 목적이 명확해야 합니다. 추가 수입을 얻기 위함인지, 본업에서의 내 역량을 더 키우고자 함인지, 제2의 커리어를 위해서인지, 아니면 자기만족을 위함인지.

 

명확하고 합당한 목적이 필요한 이유는 사이드 프로젝트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냥 나 혼자 만족하고 말면 끝인 취미가 아닙니다. 회사가 제공하는 각종 인프라가 갖춰져있지도 않습니다. 맨바닥에서 생산적인 뭔가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많은 사이드 프로젝트가 ‘흐지부지’됩니다. ‘아, 역시 일하면서 사이드 프로젝트하는 건 무리야’라는 말만 남긴 채로요. 대부분 목적이 흐릿해서 그렇습니다. ‘나도 뭔가 해야 될 것 같은데’라는 위기감만 가지고 시작하니 금방 힘을 잃게 되는 거죠.

 

반응형

3. 내 인생을 살아가는 방법 중 하나일 뿐

상술했듯 갈수록 획일화된 경쟁력이 아닌 각자의 개성을 살려야 하는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사이드 프로젝트를 해보는 게 좋은 방법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마치 모두가 해야 되는 일인 양 여겨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ilildo님의 말처럼 인생은 같은 트랙 위를 뛰는 경주가 아닙니다. 사이드 프로젝트에 도전하는 게 나와 맞지 않는 것 같다면 다른 길을 찾으면 됩니다. 오히려 회사 일을 더 열심히 해서 빠르게 승진을 하고, 그렇게 더 많은 경험을 해 보는 게 더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무턱대고 대세에 따르다 보면 잘못된 해답에 이를 위험이 있습니다.


 

 

일이 적어도 올 수 있는 번아웃 (feat. 피로인가.. 과로인가..)

번아웃.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피로감으로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최근 몇 년 새 익숙해진 단어죠. 번아웃 때문에 갑작스레 휴직을 신청한 동료의 소식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mkpark03.tistory.com

 

 

회사에서는 감정을 억눌러야 하는 이유 (feat. 일에 감정을 섞지 않는다.)

흔히들 말하죠. ‘프로는 일에 감정을 섞지 않는다’. 직장에서 기분을 드러내는 건 보통 미성숙한 모습으로 여겨집니다. 그래서 많이들 감정을 억누르며 회사 생활을 합니다. 그러다 탈이 나기

mkpark03.tistory.com

 

 

제대로 직장 생활 하는 마인드 (feat. 단순 부품이 아닌 핵심 인재로)

우리는 모두 일을 싫어합니다. 어떻게든 조금 일하고 빨리 퇴근하려 합니다. 회사에서는 “부품이 뭐, 시키는 대로 하는 거지” 식의 자조적인 말만 나오기도 합니다. 퇴근 후의 삶을 그리는 ‘

mkpark03.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