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스페인13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스페인, 화가, 1881-1973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스페인, 화가, 1881-1973피카소는 '사물의 전체를 표현하기보다는 특징과 움직임을 찾고, 불필요한 요소를 배제한 다음 캔버스 위에다 그려야 한다'라고 했습니다. 이런 특징은 미니멀한 "라인 드로잉 Line Drawing" 작품에 잘 나타나있죠. 종이에서 펜을 떼지 않고, 한 번에 동물의 윤곽선과 움직임을 표현한 One Line Drawing은 단순함에서 오는 경이로움이 느껴집니다. 단골 레스토랑에 가서는 식사를 주문하고 기다리는 동안에도 냅킨이나 영수증, 식탁보에다 라인 드로잉 그림을 남겼다고 하네요. 그때마다 주인은 식사비 대신 그림을 받겠다고 제안했고, 피카소도 흔쾌히. 피카소는 데생과정에서 황소를 엄청나게 잘 그린 다음, 이를 단순화시키고 생략해 '황.. 2025. 5. 12.
새해 소망을 기원하는 나라별 전통 (feat. 일본은 음식, 미국은 키스) 긴 시간을 걸쳐 계속되는 이유는 진짜 소망이 이뤄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은 아닐까. 1. 스페인: 포도 12알 먹기스페인에서는 새해 자정 종이 울릴 때마다 포도 한 알씩, 총 12알을 먹는다. 12알은 12개월을 의미하며, 각각의 포도는 한 달간의 행운을 상징한다. 포도를 먹는 동안 소원을 빌면 그 해에 소망이 이루어진다고 믿는다. 달콤한 포도는 좋은 일, 신 포도는 나쁜 일을 상징한다고도 한다. 포도를 다 먹는 동안 말을 하지 않아야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미신이 있다. 이 전통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도 널리 퍼져 있다. 설에 맞춰 당도 높은 샤인머스켓을 사둬야겠다. 2. 일본: 오세치 요리 먹기한국에 떡국이 있다면 일본에는 새해 첫날 오세치(おせち)라는 전통 음식이 있다. 오세치는 연근, 밤, 새우, 콩.. 2025. 1. 20.
펠릭스 레베요 데 토로(Felix Revello de Toro), 스페인, 화가, 1926-현재 펠릭스 레베요 데 토로(Felix Revello de Toro), 스페인, 화가, 1926-현재스페인 말라가에서 미술 교사 호세 마리아 레벨로 카자르의 아들로 태어났다. 13살 때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바르셀로나에서 17년 동안 대학 교수로 일한 후, 그림에만 전념하기로 결심했다. 스페인 최고의 초상화가 중 한 명이 되었고, 1991년에는 스페인 국왕과 여왕의 공식 초상화를 그려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산 텔모 왕립 미술 아카데미의 영예메달, 말라가 금메달, 헝가리 산타 이사벨 왕립 미술 아카데미의 명예 메달을 받았고, 1988년에는 말라게뇨 올해의 상, 1995년에는 말라가의 사랑하는 아들로 선정되었다. 2001년에는 말라가의 한 거리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2002년에는 안달루시아 메달을 .. 2024. 12. 17.
호아킨 소로야(Joaquin Sollora), 스페인, 화가, 1863-1923 호아킨 소로야(Joaquin Sollora), 스페인, 화가, 1863-1923스페인의 인상주의 화가 '호아킨 소로야'의 대표작은 바다를 배경으로 한 그림들입니다. 자유로운 붓 터치와 경쾌한 색채로 여름의 풍경을 과감하게 표현했죠. 젊은 시절 사실주의 스타일로 그림을 그리던 소로야는, 프랑스에서 인상주의를 만난 이후 크게 감동을 받고, 빛의 효과가 두드러지는 자신만의 화풍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작품에는 16살 때부터 사귀어왔던 그의 아내와 딸이 자주 등장한답니다. 그리고 고향 발렌시아의 바닷바람과 지중해의 강렬한 태양이 생생하게 살아있죠. 물에 비친 햇빛이 유난히 눈부시고, 아이들의 팔에 남겨진 햇빛 그을린 자국은 지난여름의 흔적입니다.                                  .. 2024. 9. 20.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스페인, 화가, 1881-1973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스페인, 화가, 1881-1973축구와 투우의 나라, 스페인 출신의 피카소는 어릴 때 아버지를 따라 자주 투우장에 갔습니다. 그곳에서 느꼈던 원시적인 열정과 야수성은 예술가에게 평생 영감을 전해주었죠. 입체파 스타일의 회화는 물론이고, 판화와 도예 작품 등에서 피카소가 오랫동안 다룬 테마 중 하나가 바로 '투우'입니다. 칼을 든 투우사와 말, 그리고 붉은 천과 황소 사이에는 엄청난 긴장감과 리듬이 있고, 잔혹함과 희생이 담겨 있습니다. 자신을 황소와 동일시했던 피카소는, 투우를 '언어없는 대화'라고 표현했는데, 그 대화의 주제는 아마도 삶과 죽음에 관한 것이었겠죠.                                                       .. 2024. 9. 14.
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의 흐름 (feat. 파블로 피카소) 1. 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의 흐름 20세기 현대미술에 대해 이야기할 때 단연 중요한 인물로 꼽히는 화가가 있다. 바로 대중들에게 무척이나 친숙한 이름, 피카소이다. 93년간의 전 생애 중 80여 년을 미술에 바친 그는 회화, 조각, 소묘, 도자기, 시 등의 무수한 작품으로 현대미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2. 파블로 피카소 스페인 남부 도시 말라가에서 태어난 피카소(Pablo Picasso, 1891-1973)는 화가 겸 미술교사였던 아버지 덕분에 어려서부터 그림을 접할 수 있었다. 천재적인 재능과 이 같은 환경은 그가 화가로 성장하는데 든든한 밑거름이 되어주었다. 1905년, 피카소는 그의 예술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준 두 사람을 만나게 되는데,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와 거트루드 스타인이었다. 피카소.. 2024. 2. 17.
북유럽 르네상스와 바로크 미술 (feat. 얀 반 에이크와 디에고 벨라스케스) 1. 북유럽 르네상스 알프스 이북 지역인 북유럽은 예로부터 문화가 낙후된 지역이어서 그리스 로마 문화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았다. 북유럽 사람들은 좋지 못한 기후나 자연환경 때문에 이탈리아나 스페인, 프랑스인들처럼 여유롭고 낙관적인 삶을 영위하지 못했으며, 장장 천여 년 동안 계속된 중세시기에도 이들의 가톨릭교는 오래되고 신비한 고딕 문화의 흔적을 지우지 못했다. 고딕양식의 신비로움과 현실에 대한 높은 관심은 북유럽 르네상스의 특징으로, 회화 작품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2. 얀 반 에이크 유화 작품은 9세기말에 처음 나왔지만 유화 기법을 발전시킨 것은 플랑드르의 에이크(Jan Van Eyck, 1395?-1441)이다. 그는 피마자유, 수지(樹脂) 등을 사용해서 색을 배합했고, 이 새로운 기법으.. 2024. 2. 9.
에리카 살세도(Erica Salcedo), 스페인, 삽화가, 1983-현재 에리카 살세도(Erica Salcedo), 스페인, 삽화가, 1983-현재 보고 있으면 왠지 친근하게 느껴지는 그림들입니다. 재밌고 귀여운 표정들이 끌리네요. 오늘 소개해 드리는 일러스트는 작가 Erica Salcedo의 작품들입니다. 그녀는 스페인에서 태어나 Castilla-La Mancha 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Polytechnic University of Valencia에서 그래픽 디자인 및 일러스트레이션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녀는 아이들을 위한 책들을 그리는 것으로 유명한데요, 현재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 광고용 일러스트 제작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About Her Hello, I'm Erica Salcedo and I'm freelance illustrator. I'm .. 2023. 12. 17.
조셉 기노바르트(Josep Guinovart), 스페인, 화가, 1927-2007 조셉 기노바르트(Josep Guinovart), 스페인, 화가, 1927-2007 20세기 후반 비공식주의 또는 추상 표현주의 작품 화가이자 조각가. 그는 바르셀로나에서 미술을 공부한 후 1940년대에 화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1950년대 초 파리로의 여행은 사물의 통합과 물질의 처리를 통한 추상 콜라주(비공식주의)에 눈을 뜨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들판과 대지에 달라붙는 비옥한 색채의 조형적 표현인 그의 작품은 기호와 암시적인 몸짓 사이의 시적 대화를 만들어낸다. 1960년대 말, 그의 작품은 관객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암시를 통합하면서 정치화된다. 이 당시 그의 특징적인 스타일은 건축이나 현장의 재료와 요소의 외관에 의해 비판적인 잔인함으로 정의되기도 했다. 이후 그의 작업은 콜라주를 통.. 2023. 12.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