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조, 평안북도 용천, 한국, 기하추상 화가, 1941-1990
이승조, 평안북도 용천, 한국, 기하추상 화가, 1941-1990 전후 복구시기 새로운 미래에 대한 열망이 충만했던 1960년대에 아방가르드 세대로 등장하며 한국의 기하추상을 진취적으로 이끌었다. 기계적 미감이 충만하게 드리운 이승조의 기하추상은 1960년대 한국 미술계에선 마치 홀로 튀어나온 송곳만큼이나 낯선 것이었다. 당시엔 미술가의 즉흥적 행위와 격정적 표현을 중시하는 앵포르멜 미학이 혁명을 일으키고 있었는데, 흔히 ‘뜨거운 추상’이라 불리는 앵포르멜의 대척점에 서서 이승조는 ‘차가운 추상’으로 대변되는 기하추상에 몰입했다. 그가 국내 미술계 기하추상의 선구자로 평가되는 이유일 것이다. 1941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출생한 그는 1960년 홍익대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해 동급생이었던 최명영, 서승원 등과..
2023. 12. 24.
양혜규, 한국, 순수예술가, 1971-현재
양혜규, 한국, 순수예술가, 1971-현재 “내 작품 어렵다고요? 다 아는 얘기예요." 독일 경제전문지 캐피털에서 매년 11월 발표하는 2023년 쿤스트 컴퍼스 100대 작가리스트’가 공개됐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1990년대 중반 이후 베를린을 기반으로 서울을 오가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양혜규 작가가 순위에 올랐다. 비미술적인 재료와 낯선 오브제의 조합으로 언제나 신선한 파장을 불러일으키는 그는 최근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국제갤러리에서 을 주제로 전시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경험과 관찰에서 시작되어, 일상적인 잡동사니를 오브제로 삼아 빛, 열기, 바람, 향기, 소리 등을 투과시킨다. 다만 그의 작품이 주관적 경험이나 관찰에서 출발하였더라도 그는 그것을 설명하거나 설득..
2023. 12. 12.
황주리, 한국, 화가, 1957-현재
황주리, 한국, 화가, 1957-현재 아버지가 출판사를 경영하던 화가 '황주리'는 미대 졸업 후, 원고지에다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화려한 원색과 무한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독특한 회화세계를 구축했죠. 도시인들의 작은 일상, 특히 젊은 청춘남녀의 사랑 이야기를 친근하면서도 수다스럽게 표현한 도시 풍속화입니다. 우리의 삶을 매일매일 자라나는 식물에 비유하여 수십 년째 "식물학" 연작을 그리고 있으며, 불상의 인간적인 모습에 감동을 받아 "그대 안의 붓다" 시리즈를 내놓기도 했죠. 그림 못지않게 글 솜씨도 뛰어난 그녀는, 산문집과 그림 장편소설도 여러 권 출판한 화가이자 작가입니다. About Her 화가.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서양화과, 홍익대 대학원 미학과, 뉴욕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32..
2023. 12. 6.
류해윤, 서울, 한국, 화가, 1929-현재
류해윤, 서울, 한국, 화가, 1929-현재 서울 길음동에서 40여년간 세탁소와 복덕방을 운영하다 78세(2006년)에 신인화가로 데뷔한 류해윤 화가 "그림을 그리다 보니, 잡념과 고민이 없어지고 그렇게 좋을 수가 없어" 류해윤 화가의 그림의 원천은 그의 생활과 가장 가까운 신문 사진이나 텔레비젼 화면이다. 그리고 파란만장한 현대사를 지나온 삶의 기억들이다. 첫번째 개인전 전시 제목도 '할아버지의 기억' 이다. TV에서 본 남북 이산가족 금강산 상봉, 6.25전쟁 때의 피란행렬, 어디선가 봤던 호랑이 민화, 고향인 경남 합천의 시골마을 풍경, 가을걷이 같은 기억 속의 풍경들, 다른 화가의 그림에서 본 장면, 가족이나 동네사람들의 초상화 등이다. 지난 소개 중 할머니 화가들의 이야기에 위로와 용기를 얻었다..
2023. 11. 22.
석철주, 한국, 항아리 작가, 1950-현재
석철주, 한국, 항아리 작가, 1950-현재 항아리를 소재로 그림을 많이 그려 항아리 작가로 불린다. 전통적 동양화 재료와 전통적 기법 위에 아크릴 물감 등과 현대적 기법을 추가했다. 판자촌이나 시장사람들, 남북이산가족처럼 현실적인 소재를 다룬 1985년 첫 개인전 이후, 질박한 장독 이미지를 표현한 〈옹기〉전(1990), 실패나 골무 등을 다룬 〈규방〉전(1995) 등의 전시회를 통해 한국화의 현대적 실험을 해왔다. 대표작인 《생활일기》 연작에서는 난초, 분재, 갈대, 호롱박 등 자연 사물을 흐릿하고 불분명한 형태로 그려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2000년대 초부터는 조선시대에 활동한 안견, 정선 등의 작품에 담긴 동양의 자연관을 재해석하는 풍경화 연작으로 주목을 받았다. 는 조선시대 안견의 관념산..
2023. 11. 21.
이인성, 대구, 한국, 근대화가, 1912-1950
이인성, 대구, 한국, 근대화가, 1912-1950 대구 출신의 근대화가로 다양한 소재와 색채, 양식과 기법을 모색하고 수용하며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형성한 화가로 평가받고 있다. 향토적인 소재로 제작된 다양한 작품은 일제 강점기(1910-1945) 조선미술전람회는 물론 일본의 다양한 전람회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 1950년 한국전쟁 중 불의의 사고로 요절하기 전까지 그는 한국근대미술을 대표하는 '가을 어느 날'(1934), '경주의 산곡에서'(1935), '해당화'(1944) 등 대작들을 제작해 남겼으며, 이들 작품 모두는 현재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 근대미술을 대표하며 일제강점기 조선 최고의 천재화가로 평가받았던 이인성(1912-1950)의 예술세계는 한국 근대미술을 대표하며 ..
2023.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