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886

얀 슬뤼터스(Jan Sluijters), 네덜란드, 화가, 1881-1957 얀 슬뤼터스(Jan Sluijters), 네덜란드, 화가, 1881-1957 네덜란드 '얀 슬뤼터스'는 후기 인상파와 야수파, 표현주의 등 다양한 스타일의 그림을 선보인 작가입니다.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네덜란드 현대미술의 선구자였죠. 23살 때 고전적인 스타일의 그림으로 큰 상을 받고 로마에서 4년간 공부할 기회를 얻었는데, 그는 이탈리아를 거쳐 파리에서 1년간 머물렀답니다. 그곳에서 그는 아방가르드 미술에 푹 빠졌고, 특히 빛과 색채의 표현에 정말 매료되었습니다. 파리의 카바레에서 춤추는 사람들을 역동적으로 표현하기도 했죠. 하지만 이 작품은 그에게 약이 되기도 했고, 독이기도 했습니다. 비평가들은 그의 작품을 비난하고, 장학금 지원도 취소시켰답니다. 하지만 그가 암스테르담에 돌아왔을 땐 이미 네덜란.. 2024. 2. 26.
빌헬름스 푸르비티스(Vilhelms Purvitis), 라트비아, 화가, 1872-1945 빌헬름스 푸르비티스(Vilhelms Purvitis), 라트비아, 화가, 1872-1945 폴란드와 핀란드의 중간쯤에서 발트해를 끼고 있는 아주 작은 나라, 라트비아의 화가 '빌헬름 푸르비티스'는 눈과 얼음으로 덮여있는 겨울 풍경을 많이 그렸습니다. 100년 전에 왕성하게 활동했지만, 아직까지도 라트비아 최고의 화가로 인정받고 있죠. 젊은 시절 러시아에서 공부하고 돌아와, 조국의 민족적 정서가 담긴 풍경을 많이 그렸으며, 작품에서는 계절과 시간의 변화에 따른 다채로운 공기가 느껴집니다. 그의 대표작품 "겨울"은, 높은 나무들 사이로 비치는 태양이 반쯤 얼어붙은 강물에 투영되어 무척 인상적입니다. 화면 중앙의 나무들과 하늘의 구름, 얼음 위에 쌓인 흰 눈이 아르누보 스타일의 장식처럼 묘사되어 있습니다. A.. 2024. 2. 25.
최나무, 한국, 화가, 현재 최나무, 한국, 화가, 현재 “식물의 형태와 색, 그 안쪽을 파고들어 가다 보면, 직면하는 것은 바로 나의 마음의 모양이다. 식물의 힘, 그것은 식물을 통해 나 자신을 관찰하고 키워내게 하는 힘이다” “작업을 이어 나가는 와중에 한 시리즈를 마무리 짓거나 전시를 마치고 나면 으레 찾아오는 슬럼프가 있다. 번아웃이라고 하기엔 그 정도로 활활 불태우진 않았다는 죄책감이 밀려오지만, 쉼 없이 나아갈 기력은 쇠한 상태. 선하나 긋기도 어려운 시간들은 무거운 돌덩이가 되어 어깨를 짓누른다. 팬데믹상황이 어느 정도 진정되고 난 시점에 무기력증이 강하게 찾아왔다. 모두들 조금씩 활력을 찾고 밖으로 나설 때 난 여전히 안으로 숨어들고 있어서일까. 방치한 정원에서 말라죽어 있는 화초들이 꼭 나와 같았다. 집안에서 키우던.. 2024. 2. 25.
마일스 하이먼(Miles Hyman), 미국, 화가, 1962-현재 마일스 하이먼(Miles Hyman), 미국, 화가, 1962-현재 문학과 미술을 전공한 미국의 '마일즈 하이먼'은, 그의 할머니가 쓴 단편소설 "The Lottery (1948년 작)"를 그래픽 소설로 각색하여 재출판한 화가입니다. 소설의 행간에 담긴 의미와 단어의 뉘앙스를 시각적으로 잘 살려서 좋은 반응을 얻었죠. 그는 미국의 사실주의와 유럽의 상징주의 작품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누아르 영화 등에서도 영향을 받아 스토리가 풍부한 'Narrative Image'를 그립니다. 그리고 그는 루이비통과의 협업으로 "로마"의 이미지를 책으로 펴내기도 했습니다. 트레비 분수와 콜로세움 등 도시의 역사적 아름다움을 높은 채도의 일러스트로 그려냈죠. 자동차 사고를 소재로 한 "Crash 시리즈" 작품에는 수수께.. 2024. 2. 25.
올라프 울브리히트(Olaf Ulbricht), 독일, 화가, 1951-현재 올라프 울브리히트(Olaf Ulbricht), 독일, 화가, 1951-현재 올라프 울브리히트는 1951년 독일 드레스덴에서 출생한 작가로, 대학에서 정규 미술교육을 받지는 않았지만, 일흔이 넘은 현재까지 일생을 그림에 바쳐왔다. 그는 고향인 라인란트-팔츠주의 시골 풍경이나 마을의 고즈넉한 분위기, 연인들이나 이웃들의 이미지를 따뜻한 톤으로 그려낸 풍경화로 인기를 끌고 있다. 밀도 있고 세심한 묘사가 인상적인 그의 그림은 음악 연주자, 농부, 연인들과 같이 시골마을에서 볼 수 있는 사람들을 아름답고 풍성한 색채감으로 표현해 낸다. 작은 화폭에 등장하는 많은 인물들은 매우 작지만 각자의 스토리를 가진 특별한 사람으로 표현된다. 독일 미술계에서 그를 ‘타고난 스토리텔러’라고 찬사를 보내는 이유이기도 하다. 오.. 2024. 2. 24.
앨리슨 프렌드(Alison Friend), 영국, 삽화가, 1973-현재 앨리슨 프렌드(Alison Friend), 영국, 삽화가, 1973-현재 Nottingham Trent University에서 미술 및 판화 학위를 취득. 현재까지 20권이 넘는 책을 출판한 뛰어난 어린이 삽화가. About Her A graduate of Nottingham Trent University with a degree in Fine Art and Printmaking. Alison was also the first female stonemason for the City of Nottingham. An accomplished children’s illustrator of over 20 published books to date — with notable publishers such as Har.. 2024. 2. 24.
크리스토프 자크로(Christophe Jacrot), 프랑스, 사진가, 1960-현재 크리스토프 자크로(Christophe Jacrot), 프랑스, 사진가, 1960-현재 프랑스 파리에 살고 있는 '크리스토프 자크로'는, 젊은 시절 단편영화를 제작하며 주목을 받았으나 지금은 사진작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파리의 화창한 관광홍보 사진을 의뢰받았지만 비는 연일 퍼붓고.. , 결국 그는 악천후 속에서도 멋진 이미지를 포착하였고, 'Paris in the Rain' 시리즈 작품으로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이후 그는 비가 온다든지, 안개가 끼었다든지, 폭설이 내리는 등 극도로 나쁜 날씨 속에서 풍경사진을 찍는 '악천후 전문작가'가 되었습니다. 특히 눈 속에서 찍은 그의 작품에서는 빛의 뉘앙스와 극적인 긴장감, 그리고 차가운 공기가 느껴집니다. 아이슬란드와 페로제도, 알프스, 시베리아의 북쪽 도시.. 2024. 2. 24.
사이토 기요시(Saito Kiyoshi), 일본, 예술가, 1907-1997 사이토 기요시(Saito Kiyoshi), 일본, 예술가, 1907-1997 후쿠시마에서 태어나고 홋카이도의 광산마을에서 살았던, '사이토 키요시 斎藤 清'는 20세기 중반의 창작판화 예술가입니다. 간판을 그리기도 했으나, 전망이 없어 그만두고 목판화를 공부했습니다. 고향 후쿠시마로 돌아와 "아이즈 마을의 겨울 (会津の冬)"을 시리즈로 제작했죠. 19세기 일본의 '우키요에' 판화가 유럽의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듯이, '사이토 키요시'는 로트렉 고갱 마티스 등 유럽의 바로 그 화가들로부터 영감을 얻었습니다. 일본 목판화의 전통을 고수한 그의 작품은, 동양과 서양의 예술적 아이디어와 스타일을 융합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About Him Kiyoshi Saito (1907-1997) was one of t.. 2024. 2. 21.
나가이 히로(永井博), 일본, 그래픽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1947년-현재 나가이 히로(永井博), 일본, 그래픽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1947년-현재 아이폰의 wallpaper로 익숙한 작가. 일본의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이지만 가장 미국적인 것으로 유명하다. 느슨하게 정의된 음악 장르와 관련된 시각적 미학을 확립한 1980년대 시티 팝 앨범의 표지 디자인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유화로 그린 풍경을 좋아했던 아버지에게서 영감을 받아 예술가가 되었다. 1975년 미국과 괌을 방문한 뒤 그곳의 풍경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이후 그의 스타일의 출발점이 되었다. 팝아트에 관심을 가지게 된 그는 영국 예술가 David Hockney에게서 영감을 얻었다. 아메리카나( 미국이나 미국 국민의 특징이나 특성에 관련된 자료와 사물의 모음)는 그의 예술에서 핵심 요소가 되었다. 1.. 2024.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