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886

사라 퍼서(Sarah Purser), 아일랜드, 예술가, 1848-1943 사라 퍼서(Sarah Purser), 아일랜드, 예술가, 1848-1943 '사라 퍼서'는 아일랜드의 더블린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아일랜드 기네스맥주의 양조장에서 일을 하며 딸을 스위스로 유학 보내 좋은 교육을 받게 했습니다. '아버지가 사업 실패하자, 그녀는 전업화가가 되기로 결심하죠. 그녀는 주로 초상화를 많이 그렸습니다. 여성이 받는 많은 제약을 극복하고, 아일랜드의 예술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답니다. 자신의 재능과 에너지, 그리고 친구들과의 우정 덕분에 매우 활동적으로 예술활동을 펼쳐나갔고 인정도 받았습니다. 그리고 그녀는 스테인드글라스회사를 설립하여, 에술적으로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답니다. About Her Sarah Henrietta Purser (22 March 18.. 2024. 2. 12.
이재효, 한국, 조각가, 1965-현재 이재효, 한국, 조각가, 1965-현재 조각가 이재효는 사람들에게 익숙한 나무, 돌, 못을 재료로 작업을 한다. 그리고 그 안에 자신을 반영하기보다는 최대한 ‘나’를 배제시킨 채 재료의 성질이 이끄는 대로 형태를 찾아 나간다. 나무의 투박한 껍질, 그 안에 숨겨진 부드러운 속, 아름답게 얽혀 있는 선들을 기하학의 틀에 넣어 다시 바라봄으로써 재료의 모습은 오히려 선명하게 다가온다. 거대하고 단호한 틀에 반하여 그 안에 담긴 재료의 모습은 셀 수 없을 만큼이나 다양하다. 그리고 비어있음과 차있음이 공존하며 그의 작업은 다시 커다란 하나의 형태를 구성한다. 그는 자신의 작업이 보는 이에게 난해하게 느껴지기를 바라지 않는다. 작업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구형은 어느 곳에서 바라보아도 같은 형태를 그려낸다. 반복.. 2024. 2. 12.
인상주의와 후기인상주의 (feat. 에두아르 마네와 빈센트 반 고흐) 1. 인상주의와 후기인상주의 1863년, 미술계에는 두 가지의 큰 사건이 일어났다. 낭만주의 회화를 탄생시킨 들라크루아의 사망과 앵그르가 주도하는 살롱전 심사에서 벌어진 소동이 그것이다. 소동이 일어나기 전까지 살롱전 심사는 너무나 편파적이었고 평가의 공정성이 떨어졌다. 자신의 제자에게 유리한 점수를 주는 심사위원에 의해 입선하는 화가가 많았기 때문에 순수하게 아름다움을 표현한 아카데미풍의 작품이 아니면 입선도 어려웠다. 결국 이런 관행에 환멸을 느낀 심사위원 사이에서 내분이 일어났고, 전보다 훨씬 더 엄격한 기준으로 출품작을 평가했는데, 살롱전에서 낙선한 4천여 점의 작품 중에는 마네의 작품도 포함되어 있었다. 2. 에두아르 마네 살롱전의 결과는 미술계에 파란을 일으켰다. 이 소식을 접한 나폴레옹 3세.. 2024. 2. 11.
에토레 티토(Ettore Tito), 이탈리아, 화가, 1859-1941 에토레 티토(Ettore Tito), 이탈리아, 화가, 1859-1941 베니스에서 평생을 살았던 '에토레 티토'는, 베니스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풍경을 주로 그린 이탈리아 예술가입니다. 어릴 적부터 그림을 시작했으며, "리알토의 수산시장"으로 큰 찬사를 받은 이후, 20년간 해마다 베니스 비엔날레에 그의 작품이 전시되었답니다. 나이가 들어서는 신화적이고 상징적인 주제의 그림을 그렸으며, 궁전과 성당 등에 대형 벽화도 제작했죠. 그리고,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등 속담 시리즈의 아르데코 그림을 통해, 패셔너블하고 독립성 강한 젊은 여성을 묘사하기도 했습니다. About Him Ettore Tito (17 December 1859 – 26 June 1941) was an Italian arti.. 2024. 2. 11.
마누엘 솔라노(Manuel Solano), 멕시코, 화가, 1987-현재 마누엘 솔라노(Manuel Solano), 멕시코, 화가, 1987-현재 “시력을 잃었을 당시엔 예술가로서 모든 것이 끝났구나 생각했습니다. 예술을 이어간다고 하더라도 사람들이 제 병력에 대한 호기심과 동정심으로만 제 작품을 바라볼 거라고 생각했죠. 한 친구가 ‘실험(experiment)’이라는 명목으로 작업을 이어 나가는 게 어떠냐고 설득했어요. 그렇게 시력을 잃은 후 처음 완성한, 도전적이고 강렬했던 작품 ‘Blind Transgender With AIDS’(2014) 연작이 탄생했습니다. 그 이후 본격적으로 작업을 이어 나가기 위한 방법을 연구했어요. 모든 걸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했습니다.” 솔라노는 2014년 스물여섯의 나이에 HIV 합병증으로 시력을 완전히 잃었다. 시각 예술을 하는 화가로서.. 2024. 2. 11.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feat. 들라크루아와 장 프랑수아 밀레) 1.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1820년대에 들어서서 신고전주의 회화는 낭만주의 회화의 강한 도전을 받게 된다.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대결은 사실 선과 색채, 이성과 감성, 안정성과 역동성의 대결이었는데, 이 대결은 결국 낭만주의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1814년 부르봉 왕조가 다시 부활함에 따라 프랑스혁명의 ‘자유 · 평등 · 박애’ 정신은 소멸되었고 프랑스 지식 계층은 예술 창작을 통해 마음속의 울분을 털어버리고자 했다. 정적이고 사회 현실과 무관했던 신고전주의 회화는 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했으므로, 보다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고자 했던 것이다. 2. 들라크루아 들라크루아(Delacroix, 1798-1863)는 화려하고 과감한 색으로 자유롭게 화가의 감정을 표현했고, 낭만주의를.. 2024. 2. 11.
로버트 인디애나(Robert Indiana), 미국, 현대 미술가, 1928-2018 로버트 인디애나(Robert Indiana), 미국, 현대 미술가, 1928-2018 "LOVE"의 작가 '로버트 인디애나'. 그의 팝아트 작품은 교통 표지판이나 간판처럼 간단명료한 '기하학적 추상'입니다. 그를 전 세계에 알린 "LOVE"는, 1965년 뉴욕의 현대미술관 (MoMA)으로부터 의뢰받은 크리스마스 카드에서 시작되었답니다. 'O'를 비스듬히 기울인 이 작품은 여러 버전의 판화, 조각, 우표 등으로 재탄생되어 대중에게 빠르게 확산되었죠. 전 세계 50개 이상 설치된 조형물은 세계 주요 도시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답니다. 또 스페인어(AMOR)와 히브리어로 만들어진 작품도 있답니다. 갑자기 큰 인기를 얻었지만 상업적으로 무단복제되고 도용되는 것을 본 작가는 세상을 등지고 외딴섬으로 들어가 버렸습.. 2024. 2. 10.
로코코 미술과 신고전주의 (feat. 프랑수아 부셰) 1. 로코코 미술과 신고전주의 바로크 양식은 이탈리아, 스페인, 플랑드르와 같은 가톨릭 국가로 퍼져 나갔지만 프랑스는 달랐다. 왕권을 강력하게 쥐고 있던 루이 14세가 푸생의 고전주의에 빠져 있었기 때문에 17세기의 프랑스는 다른 유럽 국가들과 거리를 두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루이 14세의 사망으로 완전히 달라졌다. 루이 14세의 뒤를 이어 5세의 나이에 왕위를 계승한 루이 15세는 당시 나이가 어려 섭정에 의지하게 되었는데, 그는 친정 후에도 정치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국사를 스승인 플뢰리에게 맡기고는 주색에 빠져 지냈다. 향락에 물든 국왕 때문에 정치 활동의 중심도 궁에서 살롱으로 옮겨졌고, 프랑스의 정치와 예술 등은 전반적으로 궁에서 살롱으로 옮겨졌다. 때문에 프랑스의 정치와 예술 등은 전반적으.. 2024. 2. 9.
북유럽 르네상스와 바로크 미술 (feat. 얀 반 에이크와 디에고 벨라스케스) 1. 북유럽 르네상스 알프스 이북 지역인 북유럽은 예로부터 문화가 낙후된 지역이어서 그리스 로마 문화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았다. 북유럽 사람들은 좋지 못한 기후나 자연환경 때문에 이탈리아나 스페인, 프랑스인들처럼 여유롭고 낙관적인 삶을 영위하지 못했으며, 장장 천여 년 동안 계속된 중세시기에도 이들의 가톨릭교는 오래되고 신비한 고딕 문화의 흔적을 지우지 못했다. 고딕양식의 신비로움과 현실에 대한 높은 관심은 북유럽 르네상스의 특징으로, 회화 작품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2. 얀 반 에이크 유화 작품은 9세기말에 처음 나왔지만 유화 기법을 발전시킨 것은 플랑드르의 에이크(Jan Van Eyck, 1395?-1441)이다. 그는 피마자유, 수지(樹脂) 등을 사용해서 색을 배합했고, 이 새로운 기법으.. 2024. 2. 9.
반응형